•─Back..room───•/▣…그산에가다_11

2011년7월24일 - 말발굽 모양을 한 경기도의 소금강 소요산

yeonpa(정지예) 2011. 7. 25. 11:30

 

 

2011년7월24일 - 말발굽 모양을 한 경기도의 소금강 소요산

 

 

 

 

1. 코스 : 참전기념탑 - 팔각정 - 하백운대 - 중백운대 - 상백운대 - 칼바위능선 - 선녀탕 - 자재암 - 일주문 - 관리사무소

 

2. 함께한 사람들 : 다산(일요방)

3. 날씨 : 비 그리고 흐림

 

4. 산행경비 : 교통비 + 하산후식대=2,600+12,000+@ = 14,600원

5. 산행거리 :

6. 소요시간 :

 

7. 위치 : 동두천시

8. 키워드 : 동두천/소요산/자재암/공주봉/나한대/의상대/다산/

행락산행은 행락산행처럼..종주산행은 종주산행처럼 /

 

 

 

엉터리 다큐 yeonpa(연퐈)와 함께 하는 경기도의 소금강 소요산 산행 포토 리뷰합니다.

 

 

 

 

중복날 아침 일기는 빗방울이 뚝뚝~

산행 신청을 해 놓은 상태, 비온다고 취소를 하자니

몸과 마음은 간절히 산을 원하고 있으니  몸과 마음이

원하는대로 따르기로 했다. 7월의 우중 산행 꽤 낭만적이겠는걸~

비오면 비에 젖고, 바람불면 바람에 흔들리며 걸어보겠다고,

긍정적인 마인드로 최면을 걸고  

오랜만에 다산(일방)님들과 경기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소요산

산행을 했습니다.

날이 날이니 만큼(중복)

오늘 산행의 테마는 행락산행이랍니다.ㅋ

종주산행에 길들여지고 논스톱 산행 스타일을 가진 연퐈양

애가 터집니다만..금새 적응됩니다.

막걸리 두잔에 알딸딸~음주산행을 기분좋게합니다.

안면이 있거나 뉴페이스이거나 산에선 그냥 친구가 됩니다.

 

 

 

 

 

 

 

 

▼     소요산역~중백운대( Am 11:30~Pm 1:45 ->식사포함 2시간15분소요)

 

 

 

 

 

 

 

 

 

 

 

 

 

 

 

 

 

 

 

 

 

 

 

 ↓ 소요산역 과일 노점상 과일 빛깔이 곱다.

 

 

 

 

 

 

 

 

 

 

 

 

 

 

 

 

 

 

 

 

 

 

 

얼음동동 ~ 석류쥬스...손에 들려준님.. 쌩유~^^

끈적끈적 타분한 기분에 션하게 한잔 ~ 상쾌하게

 

 

 

 

 

 

 

 

 

 

 

 

 

 

 

참전 기념탑

 

 

 

 

 

 

 

 

 

 오늘 진행에 대한 요약 설명과 닉네임 소개 및 간단하게 스트레칭

 

 

 

 

 

코스 팔각정~자재암

 

 

 

 

 

 

 

 

 

 

 

팔각정

 

얼마나 올라왔다고..

푹 편히 쉴 태세.. 아~ 오늘의 테마는  행락산행 ㅋㅋ

 

 

 

 

 

 소요산에 꽃들은 어디로 휴가를 즐기러 갔는지

딱 원추리 한송이 뿐..그 넓은 소요산에..흐흠

 

 

 

 

 

PM 12:41 _ 하백운대

 

 

 

▼  하백운대 -> 점심식사 

 

 

 

 

 

 골뱅이 무침 ^^ 맛의 최강

 

 

 

 

 

 

 

 

 

 

 

 

 

 

▼ 중백운대 (PM 1:45)

 

 

 

 

 

 

 

 

 

 

 

 

 

 

 

 

 

 

 

 

 

 

 

 

 

 

 

 

 

 

 

 

 

 

 

 

 

 

 

 

 

 

 

 

 

 

 

 

 

 

 

 

 

 

 

 

 

 

 

 

 

 

 

 

 

 

 

 

 

 

 

 

 

 

 

 

 

 

 

 

 

 

 

돌양지꽃

 

 

 

 

 

 

 

 

 

 

 

 

 

담쟁이덩굴

 

 

 

 

 

 

 

 

 

 

 

 

 

 

 

 

 

 

 

 

 

 

 

 

 

 

 

 

부채도사

여름엔 부채

 

 

 

 

 

 

 

 

 

 

 

 

 

 

 

 

 

 

 

 

 

 

 

▼   상백운대(PM 2:09)

 

 

 

 

 

 

 

 

 

 

 

 

 

 

 

 

 

 

 

 

 

 

 

 

 

 

 

 

 

 

 

 

 

 

 

 

 

 

 

 

 ▼   칼바위 능선

 

 

 

 

 

 

 

 

 

 

 

 

 

 

 

 

 

 

 

 

 

 

 

 

 

 

 

 

 

 

 

 

 

 

 

 

 ▼  선녀탕입구~자재암

 

 

 

선녀탕입구로 진행

 

 

 

 

 

 

 

 

 

 

 

 

 

▼   선녀탕 (PM 3:03)

 

 

 

 

 

 

 

 

 

 

콸콸콸 후련하구나

 

 

 

 

 

 

 

 

 

 

 

 

 

 

 

 

 

 

 

 

 

 

 

알탕에 조개를 넣으면 해물잡탕이 된다는..

 

 

 

 

 

 

 

 

 

 

 

 

 

 

 

 

 

 

 

 

 

 

 

 

 

 

 

 

 

 

 

 

 

 

 

 

 

 

 

 

 

 

1급수에서만 산다는 가재

 

가재에 대한 속담한마디

가재는 게편이요, 초록은 동색(한빛이라)

산진 거북이요, 돌진 가재라..

 

 

 

손길 _ 정성도 붉은빛이라..

 

 

 

 

 

 

 

 

 

따르시오.

아니 한잔 주세요.

두손으로 잔을 받치시오.

아`~네~

 

 

 

 

 

 

 

 

 

그 손목에서 향나무 향이 납니다.

 

 

 

 

 

 

 

 

 

 

 

 

 

 

 

 

 

 

콸콸콸 후련하구나 시원하구나..

저 떨어지는 세찬 물줄기를 온몸으로 맞아보고 싶다만..마음으로만~대신합니다.

 

 

 

 

 

 

 

 

 

 

 

 

 

 

쪽동백열매

 

 

 

 

 

 

 

 

 

 

 

 

 

 

 

 

▼  자재암 풍경~산행종료

 

 

 

 

 

 

 

 (향토유적 제8호)
           소요산에 위치한 자재암은 신라 무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 절 입구에 요석공주가 원
           효를 찾아와 기거했더는 집터가 있다. 원효의 전설 때문인지 무수한 승려들이 수도차 거쳐
           가는 곳이다.
           자재암은 거대한 바위산 협곡에 위치하고 있어 수도처로는 더없이 좋은 곳이다. 이곳에 보
           물 제1211호로 지정된 <반야바라밀다심경> 언해본이 전해오고 있다.
           1994년 암자의 서책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는데,  낙장 하나 없는 완벽한
           언해본이다. 소요산 입구에서 자재암 일주문까지 걸어서 30분 정도 걸린다. 소요산은 규모
           는 작지만 산세가 특이하고 봄철 진달래와 철쭉이 장관을 이루며 가을 단풍 또한 유별나서
           예부터 경기의 소금강이라 일컬어진다. 또한 이곳은 원효대사가 고행 수도하여 큰 도를 깨
           친 산으로서 불교 유적지로도 이름이 높다. 그래서 자재암 외에도 원효폭포 등의 관광명소
           가 소재하고 있으며 산 입구에는 넓은 주차장과 눈썰매장, 수영장 등이 있어 수도권지역의
           일일 관광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자재암의 일주문 안쪽과 주차장 뒤쪽으로 항시 솟아나
           는 약수가 있어 물통을 한두개쯤 준비해가도 좋다. 동두천시가 직접관리를 맡아 주변이 청
           결하고 질서가 있어 보기에 좋다. 출처 : 다음  검색

 

 

 

 

 

 

 

 

나한전

 

 

 

 

 

 

 

 

 

 

 

 

 

 

 

 

 

 

 

 

 

 

 

 

 

 

 

 

 

기념품 판매대

 

 

 

 

빗 _ 나도 어린 시절 빗어 본적있는 정감어린 빗

 

 

 

 

 

 

 

 

 

 

 

 

 

 

 

 

 

 

 

 

 

 

 

 

 

 

 

 

 

 

 

 

 

 

 

 

 

 

 

 

 

 

 

 

108 계단 오른 뒤 번뇌 씻는 ‘해탈문’

 

 

 

 

 

 

 

 

 

 

 

 

 

 

 

 

 

 

 

 

 

 

 

 

 

 

 

 

 

 

 

 

 

 

 

 

 

 

 

 

 

 

 

 

 

 

 

 

 

 

 

 

 

 

 

 

 

 

 

 

 

 

 

 

 

 

 

 

 

 

 

 

 

 

 

 

 

 

 

 

 

 

 

 

 

 

 

 

 

 

 

 

▼  산행의 완결판 뒤풀이 마당

 

 

 

 

 

 

 

 

 

 

 

 

 

 

 

 

 

 

 

 

 

 

 

 

 

 

 

 

 

▼ 집으로 가는길(소요산->서울로 가는 전철안)

 

 

 

 

 

 

 

 

 

 

 

 

 

 

 

 

 

▼ 마당쇠.돌쇠경매장으로 변해버린 전철안

 

나두 공개 입찰하고 싶다. 누군가를 ..ㅋㅋ

 

 

 

 

 

 

 

 

 

 

 

 

 

 

 

 

 

 

 

 

 

 

 

 

 

 

 

 

 

 

 

 

 

 

 

 

 

 

 

 

 

 

 

 

 

 

 

 

 

 

 

 

 

 


 



짐 없이 사는 사람은 없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나서 저마다 힘든 짐을
감당하다가 저 세상으로 간다.

생각해 보면 어느 한때 시리고 아픈 가슴 없이
살아본 적이 있었나 싶다.

기쁨과 즐거움의 햇살이 비치는가 하면 어느 한쪽
슬픔과 아픔의 그늘이 드리워져 있는 게 우리네 인생이다.

인생 자체가 짐이다.

가난도 짐이고, 부요도 짐이다.
질병도 짐이고, 건강도 짐이다.

책임도 짐이고, 권세도 짐이다.
헤어짐도 짐이고, 만남도 짐이다.
미움도 짐이고, 사랑도 짐이다.

 

살면서 부닥치는 일 중에서 짐 아닌 게 없다.
이럴 바엔 기꺼이 짐을 짊어지자.

다리가 휘청거리고 숨이 가쁠지라도 자신에게
주어진 짐이라면 지는 게 현명하다.

언젠가 짐을 풀 때가 되면 짐의 무게만큼 보람과
행복을 얻게 될지 아는가.


 

 

 

 

 

7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