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나만의 ‘스토리’는 다른 사람과 차별된 ‘나’를 만든다!
『스토리가 스펙을 이긴다』는 남들과 똑같은 평범한 스펙 보다는, 다른 사람과 차별성을 가지고 상대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나만의 ‘스토리’를 통해 취업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스토리가 취업과 사회에 기여하는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창의성 등 스토리의 뼈대를 이루는 8가지 핵심 역량과 나만의 스토리를 완성하는 10단계 구성법을 알아본다. 또한 진로 탐색, 취업 전략, 경력 관리 등 개인의 성취를 돕는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제시하며, 스토리 중심의 사고로의 발상 전환을 촉구한다.
역량의 기초
1. reading _ 읽고 읽고 또 읽어라.
책 읽기의 과정은 곧 생각의 과정이다.
"우리는 모두 감옥 생활을 하고 있다.
우리의 눈과 귀가 보고 들을 수 있는 세계는 직극히 좁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감옥에 하나의 창이 나 있다.
놀랍게도 이 창은 모든 세계와 만나게 해준다.
바로 책이라는 이름의 창이다." - 홍세화의 <생각의 좌표>중 에서(스페인 작가의 말을 인용)
2. 당신의 하루를 기록하라.
사람은 자신이 쓴 글만큼 표현된다.
역량이 뛰어나도 그것을 글로 표현해낼 수 없으면 소용이 없다.
'구체적인 행동'에는 글로 쓴 결가물도 포함된다.
주제를 정확하게 꿰뚫는 한 편의 훌륭한 글은 창의력, 기획력, 커뮤니케이션 등의 역량이 종합적으로 발휘될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
...
중략
....
책읽기는 필연 글쓰기와 연결된다.
글을 쓸 때 막막한 이유는 소위글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글의 주제와 관련된 배경 정보와 개인적인 체험도 있어야 하지만 그런 주제에 대해 얼마나 '생각'을 했는지가 글쓰기의 핵심이다.
글은 테크닉이 중요한 게 아니라 메시지가 중요한데 그 메시지가 나오는 원천이 개인의 경험이다.
개인마다 선천적인 '그릇'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크기에는 상관없이 그릇이 흘러넘치느냐가 내공의 핵심이다.
'흘러넘치는 그 부분' 만큼 사람을 감동시킬 숭 ㅣㅆ다.
넘치는 것을 기다리지 못해 인위적으로 '그릇'의 바닥을 긁어서라도 퍼내보내면 귀에 거슬리는 마찰음이 들린다.
나도 상대방도 쓰고 읽기에 어색하다.
.......
...... 중략
어떤 종류든 글쓰기를 연습하는 사람은 박수를 받을 자격이 있다.
'•─ 書..──────• > ▣…그책을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설 - 유수연 (0) | 2012.08.08 |
---|---|
이유없이 사랑하라 _ 마시 시모프 (0) | 2012.08.08 |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 허허당 (0) | 2012.08.02 |
울트라 라이트 하이킹 (0) | 2012.07.31 |
440 명산 정밀 지도첩 (0) | 2012.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