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倉庫──────•/▣…Study..Room

문장부호

yeonpa(정지예) 2010. 3. 4. 23:30

       

       

       

      문장부호

       

       

      1.쉼표 (끊어주는 힘의 차이에 따라)

      ( · ) 가운뎃점-쉼표의 하나.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에 쓴다.

      ( , ) 반점-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

      ( ; ) 쌍반점(세미콜론,semicolon. 반구절점) - 가로쓰기에 쓰는 쉼표(;)의 이름.

            문장을 일단 끊었다가 이어서 설명을 더 계속할 경우, 주로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설명을 추가하여 덧붙이는 경우에 쓴다.

      ( : ) 쌍점(콜론, colon) - 내포되는 종류를 들거나 작은 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 쓰며,

            저자명을 적거나 시와 분, 장과 절 따위를 구별할 때 그리고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

            예) 문장부호: 마침표, 쉼표, 따옴표…

       

      ( / ) 빗금, 사선. (슬래쉬마크. slash mark) -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쓴다.

              예) 남궁만/남궁 만. 착한 사람/ 악한 사람.

       

      *s/z는 s바z 라고 읽는다.

      *slash (슬래쉬) 내리쳐 베다.

      *slice (슬라이스) 얇게 베다. 저미다. 나누다. 가르다.

       

       

      2.마침표 - (마쳤음을 나타내 주는 말)

      ( ? ) - 물음표

      ( . ) - 온점(피어리드, period) - 마침표의 하나. 단,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 월 일을 표시할 때나, 준말을 나타낼 때에 표시문자 다음에 쓴다.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 。) - 고리점. 세로쓰기에 쓴다.

      ( ! ) - 느낌표(감탄부호)

       

       

      3.따옴표

      (“”) - 큰따옴표. 가로쓰기에 쓰는 문장부호.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하거나 남의 말을 인용할 때에 쓴다.

      (‘ ’) - 작은따옴표. 가로쓰기에 쓰는 문장부호.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나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 - 겹낫표. 세로쓰기에 쓰는 문장부호.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하거나, 남의 말을 인용할 때에 쓴다.

      (「」) - 낫표. 세로쓰기에 쓰는 문장부호.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을 나타낼 때나, 마음속으로 한 말을 나타낼 때에 쓴다.

       

       

      4. 묶음표

      ( ) - 소괄호(parenthesis). 작은 괄호. 곧, ‘( )’의 일컬음. 원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쓴다.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 빈자리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예) 커피(coffee)는 기호식품이다.

       

      { } - 중괄호(활짱묶음, brace).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 쓰는, 문장 부호 ‘{ }’의 이름.

              예)국가의 삼 요소 {국토, 국민, 주권}

       

      [ ] - 대괄호(square. bracket)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르거나 묶음표 안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씀.

              예)낱말〔單語] / 나이[연세] / 낱말[단어]…

              예문)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하지 못함]은 복종에 있어서의 불확실[모호함]을 …

       

       

      5.이음표

      ( ― ) - (줄표). 앞의 말·문장을 뒤의 말·문장과 연결시킬 때 쓰는 문장 부호.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낸다.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여들 때에 쓴다.

                즉,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에 쓴다.

       

      ( - ) - 붙임표(하이픈,hyphen).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

                그리고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예) 빛-에너지. 나일론-실. 다-장조.

       

      ( ~ ) - 물결표. ‘내지’라는 뜻에 쓴다.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쓴다.

                예) 9월15일~10월1일. 새마을: ~운동.

       

       

      6.드러냄표(방점)

      ( ° , · ) - 문장 부호의 하나. 문장 내용 가운데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보일 때에 쓰는 것으로,

      문장 부호 ‘·’나 ‘°’을 가로쓰기에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에는 글자 오른쪽에 붙인다.

       

       

      7.안드러냄표

      (x x, o o) - 숨김표. 알면서도 고의로 들어 내지 않거나 비밀을 유지할 사항일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예)그 말을 듣는 순간 x x x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육군 o o 부대 o o o 명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 □ ) -  빠짐표. 글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낸다.

                 예)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은 □□□의 석자이다.

      ( … ) - 줄임표. 할 말을 줄였을 때 또는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 쓰는 ‘……’의 이름. 말없음표. 무언표. 생략표(省略標).

       

       

      8.#(?) - 더블클로스(double cross). 휴지 표시.

       

      9.부등호 - 두 개의 수식 사이에 두어 그 수식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거나 같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호《‘< · > · ≠’의 세 가지의 세 가지》.

                       부등표.

       

      10.등호 ( = ) ---(이퀄, equal)

       

       

      11. 한글 맞춤법 통일안 새판(1940)에 실린 갖가지 부호 이름.

       

      ○ 동그라미

      ◎ 겹동그라미

      ● 검정동그라미

       

      □ 엔담 (에워싼 담의 줄임말)

         겹엔담

      ■ 검정엔담

       

      △ 마늘모

         겹마늘모

      ▲ 검정마늘모

       

      ◇ 마름

         겹마름

      ◆ 검정마름

       

      ◈ 모알마름

        모알동그라미

      ▣ 모알엔담

       

      ◁ 왼쪽세모

      ▷ 오른쪽세모

      △ 바른세모

      ▽ 꺼꿀세모

       

       

       

      제대로 알고 씁시다.

       

       

       

      6382

       

       

       

       

       

       

       

'•─倉庫──────• > ▣…Study..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화장품 바르는 순서   (0) 2010.04.05
결로현상  (0) 2010.04.05
순수한 우리말 어휘 100개   (0) 2010.02.20
pick me up  (0) 2010.02.13
specification  (0) 2010.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