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의 종류
일반적 분류
1. 타악기 : 팀파니, 큰북, 작은북, 탬버린 등 2. 관악기(금관 목관) : 풀룻, 클라, 오보, 바순, 트럼펫, 트럼본, 튜바, 리코더, 오카리나등 3. 현악기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4. 건반 악기 : 피아노, 키보드,아코디온
|
1. 서양 악기
(1) 건반악기
건반악기
쳄발로 (Cembalo), 클리비코드 (Clavichord), 첼레스타 (Celesta), 오르간 (Organ), 리드 오른간 (Read Organ), 실로폰(sillopon), 비브라폰(vibrapon), 피아노
(2) 관악기
<1> 금관악기
베이스 트럼펫 (Bass Trumpet)
풍부한 배음과 넓은 음역을 가지고 있고 4 개의 밸브를 가지고 있어 더욱 저음이넓은 트럼펫
베이스 트롬본 (Bass Trombone)
테너 트롬본보다 완전 4 도 더 낮게 조율되어 있는 F조 트롬본
알토 트롬본 (Alto Trombone)
E 조로 되어 있어 트롬본보다 완전 4도 높게 조율되어 있다
코넷(Cornet)
모양은 네모이며 트럼펫과 음색이 흡사하며 더 부드러운 음향을 가진 악기
튜바(tuba)
색소른(Saxhorn, 또는 Plugelhorn-프뤼겔호른) 족의 일원/
트럼펫 (Trumpet)
구조( 마우스피스 , 벨브와 음높이를 조절하는 조율관을 포함하는 우너통형의 부분, 원추형의 부분) 와 재료, 배음, 음색, 클라리노(clarino) 주법 등에 대한 설명과 트럼펫 연주곡(헨델,하이든, 흄멜)소개와
트롬본 (Trombone)
발전과정/구조와 모양(마우스피스, 워터키(water key), 조율 슬라이드)/음색/종류/기보법/트롬본 연주곡 소개/wavr파일로 트롬본 소리 감상
호른 (Horn)
어원, 음색, 표현능력, 종류, 구조와 크기(1,2,3 벨브(valve) ) 에 대한 설명과 호른연주곡(모짜르트, 하이든, 스트라우스)소개와 wave파일로 호른 소리 감상
D 조 트럼펫 (Trumpet in D)
1890 년초기에 소프라니노 트럼펫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악기로 길이가 3 피트 5 인치 밖에 안되며 음역도 8 도가 높은 트럼펫
<2> 목관악기
리코더
목관악기 중 가장 오래된 형태의 악기,구조,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더블베이스종의 표준형 등 소개
바세트 호른(Basset horn)
모양과 구조/ 음색/ 음역 등 소개
바순(Bassoon)
모양과 구조(리드(reed), 크룩(crook 또는 bocal), 테너 조인트(tenor joint), 버트 (butt 또는 botton), 베이스 조인트(bass joint), 벨(bell) /음역/ 발성원리/ 재료
베이스 클라리넷(Bass Clarinet)
모양과 구조(색소폰과 비슷한모양)
베이스 플루트(Bass Flute)
모양/구조/재료/조율 등 소개
색소폰(Saxophone)
모양과 구조(마우스피스, 크룩, 몸체(BODY)),재료,음역,분류( 소프라니노(E♭), 소프라노(B♭), 알토(E♭),테 너(B♭), 바리톤(E♭), 베이스(B♭), 콘트라 베이스(E♭)) ,음색, 기보법,색소폰 연주곡
샤루소폰(Sarrusophone)
모양과 구조 등 소개
알토 클라리넷(Alto Clarinet)
모양과 구조
알토 플루트(Alto Flute)
음역/ 모양/ 구조등 소개
오보에 다모레(Oboed'Amore)
모양/ 구조/ 음색 등 소개
오보에(Oboe)
구조(갈대의 일종인 케인(CANE)으로 된 리드),모양, 재료, 조율, 로레(LOREE)식 오보에, 발성원리, 음색, 기보법, 오보에연주곡(알비노니- 슈베르트- 드뷔시) ㅡ등 소개와 wave파일로 오보에 소리 감상
잉글리시 호른(English horen)
구조( 금속제로 된 크룩(crrok, 취구관)이 아치형으로 된 굴곡/크룩으로조정되는 리드 등 설명
콘트라 바순(Contra Bassoon)
모양과 구조(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무거운 악기 중의 하나)등 소개
콘트라베이스 클라리넷(Contrabass Clarinet) Clarinet)
모양/재료/구조 등 소개
클라리넷(Clarinet)
발성원리, 배음, 음색, 구조, 재료, 음역, 기보법, 모짜르트, 드뷔시, 슈미트의 클라리넷 연주곡 소개와 wave 파일로 클라리넷 소리 감상.
플루트 (flute)
변천의 과정, 재료, 구조 , 모양, 발성 원리, 조음 방법, 음색,음역 등 소개.
피콜로(picollo)
음역,모양, 구조, 재료 듣 소개
헤켈폰(Heckelphone)
모양과 유래
E조 클라리넷 (Clarinet in E )
구조와 모양(클라리넷족 중에서 소형에 속하는 것)
(3) 타악기
타악기
팀파니,타불라 벨,비브라 폰,실로폰의 특성,유래,연주법 소개.
타악기의 종류
팀파니, 실로폰, 마림바, 글로켄슈필, 비브라폰, 벨, 앤티크 심벌즈, 베이스드럼, 트라이 앵글, 탬버린, 태스터네츠, 우드블록, 목탁, 봉고, 팀발레스 등의 구조와 음색, 특징 설명.
(4) 현악기
기타
기타의 역사, 구조 및 명칭, 재료, 고르는 법, 손질법, 연주법 등 상세한 안내를 하고 있는사이트.
더블 베이스
모양/ 구조/ 음역/ 음색/ 기보법/ 조율/ 더블베이스 연주곡(Dittersdorf, Hoffmeister, Cimador) 소개 등 특징 설명과 wave파일로 더블베이스 소리 감상
류트
모양과 구조 등 특징 설명
만돌린
모양과 구조, 연주방법 등 특징 설명
바이올린
특징/ 모양/구조/ 발음체의 원리/재료/제작(버팀막대의 위치, 브리지의 형상과 위치, 그리고 니스의 질릐 중요성)/음색/ 활의 재료/바이올린곡(비발디, 바흐, 멘델스존, 브람스) 등의 소개와 wave파일로 바이올린 소리 감
비올라
모양/ 크기/구조/ 기능/ 음색/ 기보법/비올라연주곡(하이든, 베를리오즈, 스트라우스, Frrancaix )소개 등 특징 설명과 wave파일로 비올라 소리 감상
비올라 다모레
모양과 구조,음색 등 특징 설명
첼로
모양/구조/음역/기보법/음색/첼로연주곡(하이든, 슈만, 드보르작)소개 등 특징 설명과 wave파일로 첼로 소리 감상
하프
하프의 모양과 구조 등 특징을 설명한다.
5) 전자 악기
전기 전자악기 (Electric Musical instrument)
악기 특징과 원리 등설명(스피커 시스템, 전기적 진동, 합성 등)
6) 타악기
타악기
타악기의 특색과 역사, 팀파니,스네어 드럼,실로폰,마림바,비브라폰,차임,심벌즈,트라이앵글,탬버린,캐스터네츠의 구입,추천 명곡 등의 내용 제공
타악기의 종류
팀파니, 실로폰, 마림바, 글로켄슈필, 비브라폰, 벨, 앤티크 심벌즈, 베이스드럼, 트라이 앵글, 탬버린, 태스터네츠, 우드블록, 목탁, 봉고, 팀발레스 등의 구조와 음색, 특징 설명.
7) 현악기
바이올린
바이올린의 특색,역사,구입과 관리,바이올린 추천 명곡과 음반 소개 등의 내용
비올라
비올라의 특색,역사,구입과 관리,추천 명곡과 음반 소개 등의 내용 제공
첼로
첼로의 특색,역사,구입과 관리,추천 명곡과 음반 소개 등의 내용 제공
클래식 기타
클래식 기타의 특색과 역사,구입과 관리,추천 명곡과 음반 소개 등의 내용
현악기의 종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비올라 다모레, 기타, 류트, 만돌린, 하프에 대한 설명과 사진, 소리 제공
서양의 악기
서양의 악기에는 어떤 것이 있나 종류별로 살펴봅시다.
현악기
명칭 : 바이올린
분류 : 현악기
설명 : 바이올린은 4개의 현 중 E현은 강선(steel)을 사용하고 나머지 3현은 거트(gut)를 사용한다. 활은 150~250개의 말총으로
만들어지고 말총에 송진을 발라 연주할 때 활이 미끄러지는 것을 막는다. 어린이를 위해 여러 가지의 축소형 바이올린이 제작되고
있는데, 풀 사이즈 바이올린 몸통의 길이는 35,6cm이고, 1/4은 29.7cm, 1/2은 32cm, 3/4은 33.5cm이다.
유래 : 바이올린은 16세기에 발명된 악기이며, 이태리어로 비올리노(Violino)라 한다. 스트라디바리와 과르네리가 가장 유명하다.
분류 : 현악기
설명 : 비올라는 구조와 형태에 있어서 바이올린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바이올린 보다 10/7정도 더 크며 무게도 약간 무거우며 음역과
음색이 다르다. 비올라의 제 1, 2, 3현은 바이올린의 제 2, 3, 4현과 같게 조율되지만 소리가 같은 것은 아니다.
특징 : 바이올린을 밝고 화려한 소프라노에 비유한다면, 비올라는 어두우면서도 따뜻하고 질감이 풍성한 알토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음색에 있어서 달콤한 매력을 지닌다. 비올라의 활은 바이올린의 활보다 약간 굵고 무거운데, 바로 이 점이 비올라가 매력적인 소리를
내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명칭 : 첼로
분류 : 현악기
설명 : 첼로의 전체 길이는 120cm로서 바이올린의 두배쯤 되며, 몸통만의 길이는 73~76cm 정도이다. 활은 바이올린이나 비올라 보다
약간 더 짧고(71cm) 더 굵으며 탄력이 적은 편이다. 첼로의 4줄은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갈수록 현저하게 굵어져서 아래의 가장 낮은 선에서는 매우 풍부하고 부드러운 저음을 낸다. 조율체계는 비올라와 같지만 음역은 한 옥타브 아래이다. 첼로는 두 무릎 사이에 세우고 받침목으로 고정시키고 연주한다.
특징 : 첼로의 정식 명칭은 바이올린첼로(Vilooncello)로 작은 더블베이스라는 뜻이다. 운지법을 제외하고는 주법과 기능에 있어서
바이올린과 거의 같으며, 4옥타브에 걸친 넓은 음역을 갖고 있다. 첼로는 현악기 중에서 가장 거친 소리를 내는 동시에 가장 부드러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분류 : 현악기
설명 : 더블베이스는 콘트라 베이스라고도 하며, 바이올린 계통의 현악기 중 가장 크다. 전체 길이는 1.85m, 몸통 길이틑 1.12m정도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발(tailpin)로 세워 주자의 왼쪽 무릎에 기대고 높은 의자에 앉거나 서서 연주한다. 줄감개는 다른 악기와 달리 나사로 되어 있고 활은 다른 현악기에 비해 짧고 굵으며 강하다. 원래는 4현이나 최근에는 5현 베이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징 : 기보법에 있어서 더블베이스는 첼로와 같이 낮은 음자리표, 테너음자리표 등을 사용하는데 기보음 보다 실제음은 한 옥타브 낮은 소리가 난다.
유래 : 두 배로 낮은음이라는 뜻의 더블베이스는 가장 낮은 음을 담당하던 비올로네(Violone)에서 발전하였으며, 16세기 경 부터
사용되었다.
명칭 : 하프
분류 : 현악기
설명 : 하프는 높이가 1.8m이며 공명통, 속이 빈 금속 기둥, 나사로 된 조율판이 부착되어 굽어 있는 목, 7개의 페달이 있는 밑받침 등으로 구성된다. 7-150cm길이의 현이 47개이며, C샾장조의 온음계로 조율된다. 가온 C음 위는 합성제 줄을, 그 아래는 거트(gut)를, 그리고
낮은 음역은 철사줄을 사용한다. C샾현은 빨간색, F샾현은 파란색이다.
특징 : 하프는 좌우 두 손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큰 보표를 사용하며, 음역은 6옥타브 반이다.
유래 : 원시 수렵시대에 사냥꾼의 활로부터 유래된 가장 오래된 악기이다. 기원전 3,000년 이전의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하프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지방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악기의 종류: 관악기군 (입으로 부는 악기)
목관악기
명칭 : 플륫
분류 : 목관악기
설명 :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륫은 뮌헨의 플륫 주자였던 데오도르뵘이 개발한 '뵘식 플륫'이다.
이 플륫은 전체 길이가 67~68cm인 곧은 관으로 되어 있으며, 나무, 순은, 양은, 금 또는 백금 등으로 만들어진다. 플륫의 구조는
윗 관, 본관, 아래관으로 나뉘어지며, 13개의 음공(tone hole)과 함께 뵘식 키(key)가 있다.
특징 : 플륫은 3옥타브의 음역을 가지며 연주자의 능력에 따라 3~5도 정도 더 낼 수도 있다. 가장 낮은 음역에서는 배음이 적어 다소
억세고 거칠게 들리지만 웅대하고 시적이며 애조를 띠는 것이 이 음역이 지니는 매력이다. 플륫은 목관악기 중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할 수 있는 유일한 악기로 보통 제 3배음을 사용해서 만들어 낸다.
명칭 : 오보에
분류 : 목관악기
설명 : 오보에는 높은 음역의 목관악기를 뜻하는 프랑스어의 오부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오보에를 만드는 소재로는 그레나딜라(흑단과 유사함), 코카야 나무, 에보나이트, 회양목 등이 쓰이며, 하단부에는 그리 넓지 않은 깔때기 모양의 음관이 있는 반면, 상단부의 가늘어진 끝에는 금속제의 소형 원뿔관을 끼운 리드 관이 박혀져 있는데, 거기에 리드가 부착된다.
특징 : 오보에의 음색은 감미로우며, 약간의 콧소리가 섞여 있는 듯 기분 좋게 들린다. 때문에 오보에의 음색은 목가적인 선율에 잘
어울린다. 오보에는 그 독특한 음색적 특징으로 인해 다른 여러 악기와 섞이지 않고 쉽게 구별이 된다. 이런 이유로 오케스트라가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오보에 소리를 듣고 튜닝(조율)을 한다.
명칭 : 클라리넷
분류 : 목관악기
설명 : 클라리넷은 마우스피스, 몸통, 관(윗관, 아랫관), 키, 벨 등 5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래는 목관악기이지만, 최근 나무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에보나이트로 만들기도 한다. 클라리넷은 프랑스의 옛 악기인 샬뤼모에서 발전한 것으로,
13키에서 24키에 이르는 다양한 모델이 있다. 17키가 많이 사용된다.
종류 : 클라리넷은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클라리넷 등 4가지 형태가 있으며, 음역은 음색에 따라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이 다섯가지 음역 중 우리가 일반적으로 클라리넷의 소리를 말할 때, 음량과 음질이 고르며 음색도 맑은 클라리온 음역을 가리킨다.
B샾조 클라리넷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명칭 : 트럼펫
분류 : 금관악기
설명 : 트럼펫은 마우스피스에서 밸브에 이르는 12~13cm의 관, 밸브를 포함하여 조율관 전체, 밸브부터 나팔 부분인 벨까지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트럼펫은 공기의 진동을 소리의 근원으로 삼는 기명악기(aerophone)이다.
특징 : 트럼펫은 금관악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며, 음색이 화려하고 장엄한 느낌을 준다.
분류 : 금관악기
설명 : 트롬본의 재료는 놋쇠(brass)나 크롬, 니켈 등이며 관의 전체 길이는 267cm이다. 트롬본은 밸브가 아닌 U자 모양의 움직이는
슬라이드를 갖고 있는데 속 관에 끼워서 사용한다.
특징 : 트롬본은 7개의 기본음에 근거한 7개의 슬라이드 위치가 있다. 트롬본의 음색은 굵고 둥글기 때문에 부드러운 화음을 구성하는데 효과적이다. 예로부터 교회 합창의 반주에 사용되었고, 강한 연주는 위엄 있고 극적인 효과를 내기 때문에 관현악이나 극음악에 많이
사용되었다.
유래 : 트롬본은 중세의 트럼펫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출처 :http://cafe.daum.net/musicfantasia
【연주 형태】
1. 2중주 - <바이올린과 피아노><바이올린과 첼로><피아노와 첼로>
2. 3중주 - <피아노 3중주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현악 3중주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관악 3중주 : 플루트, 클라리넷, 바순>
<플루트 3중주 : 플루트, 바이올린, 첼로>
3. 4중주 - <현악 4중주 : 바올린1,2, 비올라, 첼로>
<피아노 4중주 :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여러가지 악기 넷으로 다르게 편성하여 4중주라 할 수 있다.
4. 5중주 - 여러가지 다섯으로 다르게 편성 할 수 있다.
피콜로 [Piccolo]
플루트족의 목관악기. 원래는 '작다'는 뜻으로 많은 나라에서 '작은 플루트'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플루트의 음 높이보다 더 높은 음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악기이므로 관의 길이가 플루트의 반이고 음역은 플루트의 1옥타브 위를 낼 수 있다.
원래는 '작다'는 뜻으로 많은 나라에서 '작은 플루트'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플루트의 음 높이보다 더 높은 음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악기이므로 관의 길이가 플루트의 반이고 음역은 플루트의 1옥타브 위를 낼 수 있다. 건(鍵)의 구조는 플루트를 소형화한 것이며 연주법도 거의 같으나 플루트의 아랫관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C#와 C음을 낼 수 없으며 가장 낮은 음은 D음이다.
빛나는 듯한 화려한 음을 지녔으나 그 음역의 높이와 함께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관현악에서는 특별한 효과를 낼 때만 쓰인다. 취주악에서는 유일한 고음악기로서 없어서는 안 될 악기이며 C조 악기 외에 D♭조의 악기도 사용된다. 그리고 실제음과 기보음(記譜音)과는 1옥타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조악기(移調樂器)로 취급된다.
플루트 [Flute]
최고음역의 목관악기. 원래는 '피리'란 뜻으로 리드가 없는 관악기에 통용되지만 한국에서는 보통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가로피리를 가리키며 백통[白銅] ·은 등의 금속제가 많다. 입김을 피리의 취구에 불어넣어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기명악기에 속하는 악기.
원래는 ‘피리’란 뜻으로 리드가 없는 관악기에 통용되지만 한국에서는 보통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가로피리를 가리키며 백통[白銅] ·은 등의 금속제가 많다. 입김을 피리의 취구(吹口)에 불어넣어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기명악기(氣鳴樂器)에 속하는 악기로 발음방법이나 운지법은 다른 목관악기와 같다.
플루트의 원형으로 여겨지는 악기는 매우 오랜 옛날부터 있었으며 16∼17세기까지는 세로피리가 주로 쓰였으나, 18세기에 이르러 가로피리로 개량되어 사용되기 시작하고 이때부터 플루트의 명연주자와 명곡도 많이 나타났다. 플루트음악은 음색과 음량관계로 독주곡이 많고 명연주가가 배출된 시기에 명곡이 나타났다. J.S.바흐는 8곡의 플루트소나타, 텔레만은 플루트협주곡(D장조) ·이중주곡, 비발디는 31곡의 협주곡, 2개의 플루트를 위한 협주곡, 피콜로협주곡 등을 작곡하였다. 모차르트의 G장조와 D장조의 두 협주곡은 유명하며 슈베르트의 《시든 꽃에 의한 서주(序奏)와 변주(變奏)》는 아름다운 곡이다. 비제의 《아를의 여인》 중의 <미뉴에트>와 글루크의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중의 <요정의 춤> 등은 독주로 곧잘 연주되고 있다. 오늘날 도플러의 《헝가리 전원환상곡》, 드뷔시의 《판의 피리》 등은 독주곡으로서 널리 알려졌으며 힌데미트, 프로코피예프, 이베르 등의 소나타나 협주곡도 곧잘 연주된다. 유명한 연주가로는 옛날에는 프리드리히 대왕, 도플러 등이 있었고 오늘날에는 프랑스의 모이즈, 미국의 킹케이드, 독일의 셰크 등이 널리 알려졌다.
오보에 [Oboe]
오보에란 이름은 프랑스어의 ‘음이 높은 나무피리’라는 뜻의 오브와(hautbois)에서 나왔다. 오케스트라용의 콘서트 오보에는 길이 69 cm 가량의 원추관(圓錐管)으로 되었는데 원래는 목관이지만 합성수지나 금속제도 시도되고 있다. 이 악기는 클라리넷이나 플루트보다 먼저 나온 악기로 16세기에는 이미 주요한 관악기에 포함되었고 바흐, 헨델시대에는 파고트와 함께 목관악기로서 중요시되었다. 그 후 반음계용의 키가 차차 정비되어 음역은 b'에서 f까지의 2옥타브 반에 이르고 악보도 실음(實音)을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동양적인 애수를 띤 음색이 바로크시대의 작곡가들을 매료하여 비발디, 바흐, 헨델의 협주곡 ·실내악곡 등 작품이 많다. 오보에족(族)의 악기에 오보에 다모레 ·잉글리시 호른 ·바리톤 오보에 ·소프라노 오보에 ·콘트라베이스 오보에 ·뮈제트 등이 있다.
클라리넷 [Clarinet]
음역이 다른 몇 가지 종류가 있으나 보통 표준형인 B♭관과 A관의 두가지를 가리킨다. 원통관으로 폐관(閉管)의 발진원리(發振原理)에 의하여 소리를 내며 모든 관악기 중에서 폐관진동(閉管振動)을 하는 것은 클라리넷뿐이다. 그러기 때문에 기주(氣柱)의 진동원리에 따라 같은 관의 길이라도 개관(開管)에 비해서 옥타브가 낮은 기음(基音)이 되고, 더욱이 홀수 차례의 배음(倍音)이 강하게 나오므로 짧은 관으로 낮은 음에서 높은 음까지 낼 수가 있다.
클라리넷은 18세기 초에 독일과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동안에 개량되어 19세기에 완성되었다. 오늘날은 독일식과 프랑스식이 쓰이고 있는데, 전자는 19세기 초 독일의 명연주자 뮐러(1786∼1854)에 의해서 지공(指孔)과 운지법(運指法)이 대폭 개량되어 그것이 바탕이 된 것이고, 후자는 플루트의 벰방식의 장점을 받아들인 것이다. B♭관과 A관이 살아남은 것은 이 관의 길이가 가장 알맞은 음질과 음역을 지녔기 때문이며, A관은 부드럽고 감미로운 음색을 지녔고 B♭관은 음질이 화려하고 발상력도 풍부하다. 그리고 A관은단3도, B♭관은 장2도의 이조악기(移調樂器)로서 다같이 고음부보표로 기보된다.
같은 종류의 악기로는 고음역에 소(小)클라리넷(주로 B♭음), 저음역에 바제트호른(G관 ·F관), 클라리넷 다무르(A♭관 ·G관),알토 클라리넷(테너음역의 F관 ·B♭관), 바스 클라리넷(표준 B♭관의 옥타브가 낮은 것), 콘트라베이스클라리넷(표준 것보다 2옥타브가 낮은 것) 등이 있다. 이들 악기는 작품에 따라 쓰이기 때문에 보통의 관현악에는 갖추어져 있지 않다. 표준 클라리넷은 관현악 등에서 음을 맞출 경우 오보에가 결석했을 때는 기준음을 분다. 폐관의 발음기구에 따르기 때문에 독특한 음색을 지니는데 음세(音勢)도 있고 표현력도 풍부하기 때문에 목관악기 중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관현악 ·실내악 등의 예술음악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음악에도 쓰인다. 취주악에서는 관현악의 바이올린과 맞먹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클라리넷의 음악성이 인정되어 관현악에 상치된 것은 18세기 말부터이며 이 악기의 진가를 보인 것은 모차르트이고 그 후의 작곡가들도 그 효과를 교묘하게 활용하고 있다.
바순 [Bassoon]
오케스트라의 주요한 중저음용 목관악기. 바순(bassoon, 프랑스어: basson), 또는 파곳(독일어: fagott, 이탈리아어: fagotto)은 리드가 두 개인 목관 악기로, 목관악기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낸다.
색소폰 [Saxophone]
싱글리드(single reed:單簧)로 된 목관악기.
벨기에의 A.색스가 만들어 1846년 파리에서 특허를 얻었다. 마우스 피스는 클라리넷과 비슷한 싱글리드이고 관은 금속으로 된 포물형 원추관(圓錐管)이다. 또 클라리넷은 폐관진동(閉管振動)이지만 이것은 플루트나 오보에처럼 개관진동(開管振動)이다. 색스는 같은 군(群)에 속하는 악기로 넓은 음역을 연주할 수 있도록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콘트라베이스의 7가지를 한 쪽으로 하여 취주악용과 관현악용의 2가지를 만들었는데, 그 중에서 알토와 테너가 넓은 분야의 음악에 쓰이고 있다. 소프라노는 관이 곧지만 알토 이하는 상부와 하부가 S자형이고, 음색은 목관과 금관의 중간으로 폭넓은 육성적인 울림이 독특하며, 저음악기에서 고음악기까지 음색의 통일이 잘 되어 있다.
연주법은 다른 목관악기보다 쉬우며 발명 후 급속히 일반화되었다. 취주악에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관현악에서는 독특한 울림 때문에 다른 목관악기와 조화가 잘 잡히지 않아 효과면에서 독주부분에 쓰이는 일은 있어도 목관악기로서의 정석적인 자리는 없다. 한편 경음악분야에서는 재즈의 유행과 함께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주요한 악기가 되었다. 예술음악에서는 발명 직후에 프랑스의 작곡가들이 사용하였는데, 특히 G.비제의 모음곡 《아를의 여인》이 유명하다. C.L.A.토마, 마스네, R.슈트라우스, 힌데미트와 같은 작곡가들도 곡 중에 이 악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倉庫──────• > ▣…Study..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래 잘 부르는 방법 (0) | 2009.10.21 |
---|---|
복식 호흡 (0) | 2009.10.21 |
잘못읽기 쉬운 한자.. (0) | 2009.10.08 |
릴랙스 타임.. (0) | 2009.10.07 |
사가독서및 독서당 (0) | 200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