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倉庫──────•/▣…Study..Room

우뇌 좌뇌

yeonpa(정지예) 2010. 6. 4. 17:51

 

 

<1> 학습 스타일 이란 무엇인가?

좌뇌와 우뇌는 서로 반대편 신체를 제어한다

앞 시간에 사람의 뇌는 좌뇌와 우뇌로 나뉘어져 있고 교량이라고 하는 고속도로가 있어 각기 다른 감각기관으로 받아 들여진 정보들이 고속도로를 타고 우뇌 혹은 좌뇌로 교환 되게 됩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좌뇌는 여러분의 몸 반대쪽 그러니까 오른쪽 영역을 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양 뇌가 서로 엇갈려서 우리 몸을 제어하는 것이죠.

쉽게 얘기해서 아름다운 장미를 보고 냄새를 맡다가 장미 가시가 여러분 왼쪽 손등에 찔리게 되면, 여러분의 우뇌가 인지를 하게 되는 것 입니다.

잠시, 의학적으로 접근을 해 보겠습니다. 식습관의 변화로 우리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게 되면 뇌 혈류가 막혀 혈액 공급이 차단 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뇌를 흐르고 있는 혈액이 막혀 버린 뇌 일 부분에 영양 공급을 주지 못하게 되죠. 산소도 공급 받지 못하게 되고요. 그럼, 결국에는 뇌세포가 죽어 버리게 되죠. 왜냐하면, 세포가 포도당 이라고 하는 영양분을 섭취 해야 기능을 하는데 그렇지 못하게 되니까 그런 것 입니다.

그렇게 죽어 버린 부분이 만약 우뇌의 일부분 이라면 우뇌가 제어하는 영역인 신체 왼쪽의 신체 기능이 저하되게 됩니다. 그래서 뇌 경색이나 뇌 졸증 환자들이 걸을 때 부자연스럽게 걷는 이유가 바로 그런 연유 입니다.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여러분의 뇌가 좌뇌 혹은 우뇌가 상대적으로 다른 쪽 뇌에 비해 훨씬 영양을 더 공급 받게 되고, 활동도 더 활발하게 하게 됩니다. 운동을 하지 않다가 갑자기 운동을 하게 되면 몸이 아픈 것과 똑 같은 이치로 다른 쪽 뇌가 둔화 되는 것이지요. 한 쪽 뇌가 더 발달 되었기 때문에 그 쪽 뇌가 관장하는 반대 편 영역의 신체적 기능이 더 자연스럽고 물 흐르듯 유연합니다.

② 좌뇌와 우뇌의 기능이 낳는 불일치가 자신의 학습 스타일로 굳어진다.

동안 알려진 사실은 좌뇌와 우뇌가 하는 역할이 나뉘어져 있다는 입니다.

아래는 좌뇌와 우뇌의 기능적 차이에 대한 표 입니다. 그리고 아래의 것은 여러분의 우뇌

좌뇌 중 어떤 뇌를 더 많이 사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한 이미지 입니다.

LEFT BRAIN FUNCTIONS(좌뇌)

RIGHT BRAIN FUNCTIONS(우뇌)

uses logic, detail oriented

facts rule, words and language

present and past, math and science

can comprehend, knowing

acknowledges, knows object name

order/pattern perception

reality based, forms strategies

practical, safe

uses feeling, "big picture" oriented

imagination rules, symbols and images

present and future, philosophy & religion

can "get it" (i.e. meaning), believes

appreciates, spatial perception

knows object function, fantasy based

presents possibilities, impetuous

risk taking

 

우뇌와 좌뇌 사용 테스트 이미지

아래 댄서가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분은 상대적으로 우뇌 형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즉, 좌뇌보다 우뇌가 더 발달하였고 주뇌가 우뇌라는 것.

아래 댄서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분의 뇌는 좌뇌가 더 우세하며 좌뇌 형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뇌를 쓰려고 노력하고 발달시키면 좌뇌 형 이신 분들도 시계 방향으로 도는 댄서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위에 보시는 대로 좌뇌는 언어와 논리적 사고를 다루고, 우뇌는 언어로 표현되기 어려운 것들을 그림이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억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작업을 합니다.

상대적으로 둔화 된 여러분의 뇌가 우뇌냐 좌뇌이냐에 따라서 정보 체득, 이해, 표현 하는 방식이 달라 질 수 밖에 없죠. 주뇌(主腦)가 관장하는 신체의 반대쪽 눈, 귀, 손, 발, 감각 등이 더 섬세하고 세밀하며 기능적 측면에서 월등할 수 있습니다.

가령, 우뇌가 더 발달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그 사람은 왼쪽 눈, 귀, 왼 손, 왼 발, 왼 팔 등이 우월하게 됩니다. 오른 쪽 신체 부위로 하는 일에는 잼뱅이가 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많죠.

이 사람이 학교에서 수업 받는 과목의 일부를 대입시켜 볼까요?

수학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본 공식 도출 과정은 눈으로 보고 이해는 잘 하지만 실제 문제에 적용을 잘 못 시킵니다. 결국, 점수가 잘 나오지 않죠.

과학

이론과 과정을 다 포함하는 복합성 학문이기 때문에 물리, 화학, 지구과학 같은 과목은 다소 불리하지만 생물 같은 과목은 잘할 수 도 있습니다. 생물학에는 도표와 삽화, 이미지가 많습니다.

국어

통사론 적 문제 접근에서 불리 할 수 있습니다. 논리적 추론, 유추, 연상 능력이 떨어 질 수 있습니다. 발표력도 떨어지고 질문 대답 능력도 아둔하고 더듬거리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글을 쓰는 것은 오른손 이기 때문에 글씨를 잘 못 씁니다.

체육

주 신체 기능이 왼 쪽이라 오른손오른발로 하는 운동에 쥐약 입니다. 이른바 몸치나 운동신경이 없는 것으로 오인 받기 십상이죠. 헛발질을 하거나 공을 다루는 것이 상당히 서투릅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하는 것을 보고 모방을 하면 잘 할 수 있습니다. 말로 하는 이론적 설명보다 실기 체험을 계속 하면 잘 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러나 시간적 제약이 있습니다.

미술

그림에 소질이 별로 없습니다. 도구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에 서투릅니다.

말로 설명을 들어도 잘 이해를 못하고 글로 숫자로 표현된 것을 왼쪽 눈으로 보아야 쉽게 이해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사람은 학업 성적이 우수할 리 없고 열등생이 될 가능성이 많고 수업 시간에 허튼 짓을 하거나 괜히 책에 낙서를 하거나 한다. 생활상으로 들어가 봐도, 사람 이름을 잘 기억 못합니다. 대신, 얼굴은 잘 기억해서 많은 사람들 속에서도 수염을 붙이고 변장을 하더라도 금방 찾아 냅니다. 그리고 공간감각이 좋아 지리 지형에 밝습니다. 전화를 받는 순간 대화는 하고 있지만, 언어 중추를 제어하는 좌뇌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저조하기 때문에 전화 내용을 메모하지 않으면 전화 건 사람의 이름, 메시지 내용이 무엇 이었는지 혼동 한다.

만약, 위 사람이 좌뇌가 주뇌 라면 상황은 역전이 될 것 입니다. 적어도 열등생이 될 가능성은 현저히 떨어지죠. 그렇다면 우뇌가 주뇌인 사람들은 평생 열등생으로 살아가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우뇌가 주뇌인 사람들은 삽화, 도표, 이미지로 표현이 된 것들을 빠르게 흡수하며 막연하게 사물을 바라 보는 각도도 다릅니다. 즉, 사물을 있는 그대로가 아닌 다른 각도방향에서 볼 줄 아는 지혜가 남다릅니다. 즉,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런 식으로 자신의 주로 발달된 뇌에 맞춘 적절한 교육 방법이 제공 되어야 하며, 그런 제반 방법론 적인 측면 모두를 학습 스타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양 뇌가 인식하는 학습 스타일은 육체적인 활동이나 지적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똑 같은 결과치를 기대 하기에는 시간과 경험에 의한 직관력이 요구 된다. 이 말은 학습적 열등생 이라고 하더라도 그 사람의 학습 스타일을 인정하고 그에 맞는 스타일로 지도 하며 참고 인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학습 스타일을 더 이해 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더 추가 되어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보는 것과 듣는 것이다.

 

출처 :

 

 

 

'•─倉庫──────• > ▣…Study..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렉팅  (0) 2010.08.11
사회 보험 :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0) 2010.07.15
편린  (0) 2010.05.25
aphorism(아포리즘)  (0) 2010.04.20
기초 화장품 바르는 순서   (0) 201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