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見之明〔선견지명〕: 앞일을 미리 내다보는 지혜.
" 先公後私〔선공후사〕: 사(私)보다 공(公〕을 앞세움. 사사로운 일이나 이익보다 공익을 앞세움.
" 先禮後學〔선례후학〕: 먼저 예의를 배우고 나중에 학문을 배우라는 뜻.
" 先發制人〔선발제인〕: 본래는 전쟁에서 기선을 제압해야 승리할 수 있다는 뜻.
남보다 앞서 일을 도모하면 능히 남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인다.
" 仙姿玉質〔선자옥질〕: 선녀같은 모습과 옥같은 바탕. 용모가 아름답고 재질도 뛰어남을 뜻
" 善始善終〔선시선종〕: 처음이나 끝이나 한결같이 잘 함.
" 先憂後樂〔선우후락〕: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긴다는 뜻
군자〔君子〕의 마음가짐을 이르는 말.
" 先從외始〔선종외시〕: 먼저 외부터 시작하라는 고사에서 나온 말,
큰 뜻을 이루려면 우선 비근한 일에서부터 시작하라는 의미 고사성어 검색
" 雪泥鴻爪〔설니홍조〕: 눈 위에 지나간 기러기의 발자취가 눈이 녹은 뒤에는 흔적 없이 사라지는 것
인생의 자취가 흔적이 없음의 비유
" 舌芒於劍〔설망어검〕: 혀가 칼보다 날카롭다. 논봉(論鋒)이 날카로움을 뜻한다.
" 雪膚花容〔설부화용〕: 눈처럼 흰 살결과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이란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의 용모를 형용하는 말.
"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또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겹침을 이름.
" 說往說來〔설왕설래〕: 옳고 그름을 따지느라고 서로 옥신각신함.
" 雪中松柏〔설중송백〕: 송백은 눈 속에서도 그 색이 변하지 않는다,
사람의 절조(節操)가 굳은 데 비유하는 말
" 纖纖玉手〔섬섬옥수〕: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을 형용하는 말이다.
" 誠敬是寶〔성경시보〕: 성실 공경 이것이 보배다.
" 聲東擊西〔성동격서〕: 동쪽을 치는 듯이 하면서 실제로는 서쪽을 친다는 뜻으로,
상대를 기만하여 공격함의 비유.고사성어 검색
" 盛者必衰〔성자필쇠〕: 한 번 성한 자는 반드시 쇠할 때가 있다는 말.
" 城下之盟〔성하지맹〕: 성〔城〕: 밑에서 강화의 맹약을 체결한다는 뜻,대단히 굴욕적인 항복
" 城狐社鼠〔성호사서〕: 임금 옆에 있는 간사한 신하를 말한다.
" 洗踏足白〔세답족백〕: 상전의 빨래에 종의 발꿈치가 희게 되었다는 말,
남을 위해 한 일이 자신에게도 이롭게 되었다는 뜻
" 世德長祥〔세덕장상〕: 덕으로 처세하면 길이 상서롭다.
" 勢利之交〔세리지교〕: 권세와 이익을 얻기 위한 교제.
" 世俗五戒〔세속오계〕: 신라 진평왕 때 원광법사가 지은 화랑의 다섯 가지 계율. 곧, 사군이충〔事君以忠〕,사친이효〔事親以孝〕,교우이신〔交友以信〕,임전무퇴〔臨戰無退〕,살생유택〔殺生有擇]
" 歲寒三友〔세한삼우〕: 추운 겨울에 잘 견디는 소나무·대나무·매화나무를 일컫는 말.
"[少年易老學難成 〔소년이로 학난성]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
[一寸光陰不可輕 〔일촌광음 불가경〕순간 순간의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마라.
[未覺池塘春草夢 〔미각지당 춘초몽〕연못가의 봄 풀이 채 꿈도 깨기 전에
[階前梧葉已秋聲 〔계전오엽 이추성〕섬돌 앞 오동나무 잎이 가을을 알린다.
" 笑裏藏刀〔소리장도〕: 외면으로는 웃으면서 온화한 척 하지만, 마음 속에는 음흉하게 칼을 품고 있음. 얼굴에 미소를 띄우고 있지만 속에는 해칠 뜻을 품고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口蜜腹劍)
" 笑而不答〔소이부답〕: 웃기만 하고 대답을 하지 않음.
" 騷人墨客〔소인묵객〕: 시문〔詩文〕·서화〔書 〕를 일삼는 사람. 곧, 시인·문인·서예가·화가.
" 小人之勇〔소인지용〕: 혈기에서 오는 필부〔匹夫〕의 용기.
" 小貪大失〔소탐대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오히려 큰 것을 잃음.
" 速去千里〔속거천리〕 : 어서 멀리 가라는 뜻으로 귀신을 물리칠 때에 쓰는 말.
" 束手無策〔속수무책〕: 손을 묶은 듯이 어찌할 방책이 없음.
" 孫康映雪〔손강영설〕: 손강(孫姜)이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구하지 못해서 쌓인 눈빛에 비추어 책을
읽었다는 고사. 어려운 가운데 고생하면서 공부한다는 비유로 쓰인다.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하늘이 명(命)을 통해 부여해 준 자신의 '본성(本性)'을 잘 파악하고
발달시키는 것 그것을 일컬어 '도(道)' 즉, 자신의 '길'이라고 한다.
" 送舊迎新〔송구영신〕: 묵은 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음. 또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松茂栢悅〔송무백열〕: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남이 잘 되는 것을 기뻐함
" 松柏之操〔송백지조〕: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처럼 변하지 않는 지조.
" 首邱初心〔수구초심〕: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 살던 굴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한 말
" 水到魚行〔수도어행〕: 물이 이르르면 고기가 그 물 속을 가게 된다. 무슨 일이건 때가 되면 이루어진다는 의미.
" 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 자신에게 주어진 명(命)을 파악하고 본성(本性)을 발달시켜야 하는 자신의 길(道)을 꾸준히 다듬어 나가는 것 그것을 일컬어 '본받음(敎)'이라고 한다.
" 壽福康寧〔수복강녕〕: 오래 살고 행복하며, 건강하고 평안함.
" 手不釋卷〔수불석권〕: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늘 글을 읽음을 이르는 말.
" 袖手傍觀〔수수방관〕: 팔짱을 끼고 곁에서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간섭하지 않고 그냥 내버려 둠.
" 修身齊家〔수신제가〕: 자기의 몸을 닦고 집안 일을 잘 다스림.
" 水深可知 人心難測〔수심가지 인심난측: 물의 깊이는 알 수 있으나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 어렵다
" 水魚之交〔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이란 뜻, 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 사이처럼 매우 친밀한
관계를 이르는 말.
" 羞惡之心〔수오지심〕: 자신의 그릇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바르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 樹欲靜而 風不止〔수욕정이 풍부지〕: 나무가 고요하고 싶어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부모님께 효도를 하고 싶어도 이미 때 늦어 돌아가시고 계시지 않음을 슬퍼하는 말.(=樹風之歎)
" 誰怨誰咎〔수원수구〕: 누굴 원망하며 누굴 탓할 것인가. 남을 원망하거나 책망할 것이 없음.
" 水至淸則 無魚〔수지청즉 무어〕: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숨을 곳이 없으므로 살지 않는다. 사람이 너무 야박하거나 지나치게 똑똑하면 다른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피하여 벗을 사귀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 菽麥不辯〔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 분간할 줄 모른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비유
" 宿虎衝鼻〔숙호충비〕: 자는 범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공연히 화를 부르는 일을 이르는 말.
" 純潔無垢〔순결무구〕: 아주 깨끗하여 조금도 티가 없음.
" 脣齒之國〔순치지국〕: 이해관계가 밀접하여 입술과 이와의 관계같은 나라.
" 膝甲盜賊〔슬갑도적〕: 남의 시문(詩文)을 표절하여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 崇德廣業〔숭덕광업〕: 높은 덕과 큰 사업. 또, 덕을 높이고 업을 넓힘.
" 是非曲直〔시비곡직〕: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곧, 잘잘못.
" 是非之心〔시비지심〕: 시비를 가릴 줄 아는 마음.
" 是是非非〔시시비비〕: 옳은 것은 옳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판단함.
" 是耶非耶〔시야비야〕: 옳으니 그르니 하고 시비를 가림.
" 尸位素餐〔시위소찬〕: 이루어 놓은 아무 공도 없이 헛되이 관록(官祿)만 먹음을 일컫는 말.
" 施惠種德〔시혜종덕〕: 은혜를 베풀고 덕을 심는다.
" 信賞必罰〔신상필벌〕: 상과 벌을 규정대로 엄격하게 함.
" 身言書判〔신언서판〕: 당나라 때 관리를 뽑는 기준으로 삼았던, 사람이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조건.
곧, 신수·언사·문필·판단력.
" 身體髮膚〔신체발부〕: 몸·머리·피부. 곧, 몸 전체를 말함.
" 神出鬼沒〔신출귀몰〕: 귀신처럼 자유자재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여 그 변화를 헤아리기 어려움.
" 身土不二〔신토불이〕: 몸과 태어난 땅은 하나라는 뜻으로, 제 땅에서 산출된 것이라야
체질에 잘 맞는다는 말.
"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나 진상을 연구하는 일.
" 實踐躬行〔실천궁행〕: 몸소 실천함.
" 十匙一飯〔십시일반〕: 열 사람이 밥 한 숟갈씩 보태면 한 사람의 끼니가 된다는 뜻으로,
여럿이 한 사람을 돕기는 쉽다는 말.
" 兒童走卒〔아동주졸〕: 철없는 아이들과 어리석은 사람들.
" 阿鼻叫喚〔아비규환〕: ①아비 지옥과 규환 지옥. ②참혹한 고통 중에 살려 달라고 울부짖는 소리.
" 我田引水〔아전인수〕: 제 논에 물대기'란 뜻으로, 자기에게 유리하게 생각하거나 행동함.
" 惡木盜泉〔악목도천〕: 더워도 나쁜 나무 그늘에서는 쉬지 않으며, 목이 말라도 도〔盜〕란 나쁜
이름이 붙은 샘물은 마시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란해도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음의 비유.
" 惡衣惡食〔악의악식〕: 좋지 못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런 옷과 음식.
" 眼高手卑〔안고수비〕: 눈은 높으나 실력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뜻. 전에는 사치하게 살던 사람이 가난해져 눈은 높고 돈은 전처럼 쓰지 못할 경우를 일컫기도 한다.
" 惡因惡果〔악인악과〕: 악한 일을 하면 반드시 그 결과가 나쁘게 나타난다는 말.
" 安分知足〔안분지족〕: 자기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앎.
" 安不忘危〔안불망위〕: 편안할 때도 마음을 놓지 않고 위태로움에 항상 대비함.
" 安貧樂道〔안빈낙도〕: 가난한 생활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김.
" 雁 書〔안 서〕: 철따라 이동하는 기러기가 먼 곳에 소식을 전한다는 뜻으로, 편지를 일컫는 말.
" 眼中之人〔안중지인〕: 눈 속에 있는 사람. 정(情)든 사람을 뜻한다. 눈 앞에 있는 사람을 가리켜 말하기도 하고, 눈 앞에 없어도 평생 사귄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 安心立命〔안심입명〕: 천명〔天命〕을 깨닫고 생사〔生死〕·이해를 초월하여 마음의 평안을 얻음.
" 眼下無人안하무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 사람됨이 교만하여 남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 壓 卷〔압 권〕: 책이나 예술작품, 공연물 등에서 가장 뛰어난 부분 또는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일컫는 말
" 仰不愧於天〔앙불괴어천〕: 우러러 하늘을 보아도 조금도 부끄럽지 않음.
" 愛國愛族〔애국애족〕: 자기의 나라와 겨레를 사랑함.
" 愛別離苦〔애별리고〕: 불교에서 말하는 팔고 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괴로움.
" 曖昧模糊〔애매모호〕: 사물의 이치가 희미하고 분명치 않음.
" 哀絲豪竹〔애사호죽〕: 관현의 소리가 비장하여 사람을 감동시킴을 이름.
" 哀而不傷〔애이불상〕: 슬퍼허나 마음이 상하지 않도록 슬퍼함.
" 愛人者 人恒愛之〔애인자 인항애지〕: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사랑해준다.
" 愛人如己〔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같이 사랑함.
" 愛之重之〔애지중지〕: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김.
" 哀毁骨立〔애훼골립〕: 부모의 죽음을 슬퍼하여 몸이 바싹 여윔.
" 弱肉强食〔약육강식〕: 약한 자는 강한 자에게 먹힘. 생존 경쟁의 살벌함을 말함.
" 陽 臺〔양 대〕: 해가 잘 비치는 대. 남녀의 정교(情交)를 의미한다.
" 陽臺 不歸之雲〔양대 불귀지운〕: 한 번 정교(情交)를 맺고 다시는 만나지 못하는 것을 비유.
" 量 自 力〔양 자 력〕 : 자기 자신의 능력의 정도는 자신만이 안다는 의미. 어떤 일을 마음이 곧고 충실하게 탐구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 良志良能〔양지양능〕: 교육이나 체험에 의하지 아니하고 선천적으로 알고 행할 수 있는 능력.
" 養志之孝〔양지지효〕: 항상 부모의 뜻을 받들어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행.
" 養虎後患〔양호후환〕: 범을 길렀다가 그 범에 물린다는 뜻으로, 은혜를 베풀었다가 도리어 해를 당함을 비유하여 이름. =양호유환〔養虎遺患〕고사성어 참고
" 魚頭肉尾〔어두육미〕: 생선은 대가리 쪽이, 짐승은 꼬리 쪽이 맛이 좋다는 말.
魚目燕石〔어목연석〕: 어목(魚目)은 물고기의 눈, 연석(燕石)은 燕山의 돌. 모두 玉과 비슷하여 옥으로 혼동함. 허위를 진실로 우인(愚人)을 현인(賢人)으로 혼동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魚網鴻離〔어망홍리〕: 물고기를 잡으려고 쳐놓은 그물에 기러기가 걸린다는 뜻으로 구하는 것이 아닌 딴 것을 얻을 때를 비유한 말
" 魚變成龍〔어변성룡〕: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된다는 말로 아무 보잘것없고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됨을 비유
" 語不成說〔어불성설〕: 말이 도무지 사리에 맞지 않음. 말이 되지 않음.
" 魚遊釜中〔어유부중〕: 솥 안에서 물고기가 논다는 뜻으로 살아 있기는 해도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비유
" 抑强扶弱〔억강부약〕: 강한 자를 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줌.
" 偃鼠之望〔언서지망〕: 쥐는 작은 동물이라서 강물을 마신대야 자기 배 하나 가득히밖에 더 못 마신다. 자기 정한 분수가 있으니 안분(安分)하라는 말이다.
" 焉敢生心〔언감생심〕: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있으랴'라는 뜻.
" 言飛千里〔언비천리〕: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는 뜻으로, 말이 빠르게 멀리 퍼진다는 말.
" 言語道斷〔언어도단〕: 너무 엄청나게 사리에 어긋나 말문이 막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 말로 나타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言中有骨〔언중유골〕: 예사로운 말속에 뼈 같은 속뜻이 있다는 말.
" 言則是也〔언즉시야〕: 말이 사리에 맞는다.
" 掩目捕雀〔엄목포작〕: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으려 한다. 일을 성취하려면 성실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
" 言行一致〔언행일치〕: 하는 말과 행동이 같음.
" 掩耳盜鈴〔엄이도령〕: 제 귀를 가리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나쁜 짓을 하면서 그것을 굳이 생각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을 비유한 말
" 如足如手〔여족여수〕: 형제는 몸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팔다리와 같다는 말.
" 如履薄氷〔여리박빙〕: 엷은 얼음을 밟는 듯 매우 위험한 것을 뜻함.
" 與物爲春〔여물위춘〕: 만물과 함께 봄을 즐긴다는 뜻. [출처]장자 덕충부편
" 與民同樂〔여민동락〕: 왕이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 나눔을 말한다.
" 如 反 掌〔여 반 장〕: 손바닥을 뒤집는 것과 같이 매우 쉬움.(-易如反掌)
" 與朋友交而不信乎〔여붕우교이불신호〕 : 증자(曾子)가 하루에 세 가지를 돌아본 것 중의 하나로 벗과 사귀는 데에 신의로서 하지 않은 것이 있었는가?
" 與子同袍〔여자동포〕: 자네와 두루마기를 같이 입겠네. 친구사이에 서로 허물없이 무관하여 하는 말.
" 與鳥過目〔여조과목〕: 새가 눈앞을 스쳐 날아가는 것처럼 빨리 지나치는 것에 비유한 말[출처]張協의 詩
" 與足與手〔여족여수〕: 형제간의 정의가 두터워 수족과 같다는 말.[출처]李華의 조고전장문
" 與쾌等伍〔여쾌등오〕: 한나라 한신이 살아 있을 때 번쾌와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하여 한탄한 말 [출처]사기 회음후전
" 與風過耳〔여풍과이〕: 바람이 귀를 지나가듯 조금도 그 일에 관련이 없음.[출저]吳越春秋
" 力拔山 氣蓋世〔역발산기개세〕: 힘은 산을 뽑고 기상은 세상을 덮을만하다. 항우(項羽)의 힘센 기상을 비유한 말. 영웅의 힘이 세고 기상이 큰 것을 일컬음.(-拔山蓋世)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자기 자식을 자기가 직접 가르치면 폐단이 많으므로 다른 사람의 자식을 자기가 직접 가르치고 자기의 자식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어 가르치게 함
" 易地思之〔역지사지〕: 상대편의 처지에서 생각함.
" 鉛刀一割〔연도일할〕: 납으로 만든 칼도 한번은 자를 힘이 있다. 자기의 힘은 미약하다고 겸손하게 하는 말로도 쓰이며, 소인배도 한번은 착한 일을 할 수 있으나 두번은 계속해서 할 수 없다는 말로도 쓰인다.
" 鳶飛魚躍〔연비어약〕: 하늘에 솔개가 날고 물 속에 고기가 뛰어노는 것이 자연스럽고 조화로운데, 이는 솔개와 물고기가 저마다 나름대로의 타고난 길을 가기 때문이다. 만물이 저마다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살아가면, 전체적으로 천지의 조화를 이루게 되는 것이 자연의 오묘한 도(道)임을 말한다. 고사성어 참고
" 燕雁代飛〔연안대비〕: 제비가 날아올 때는 기러기는 날아가고 기러기가 올 때는 제비가 날아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간다는 뜻
" 燕雀 安知鴻鵠之志哉〔연작 안지홍곡지지재〕: 제비나 참새 따위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큰 뜻을 알리요 라는 뜻으로 소인은 군자나 대인의 큰 뜻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말
" 燕趙悲歌士〔연조비가사〕: 춘추전국시대 연나라와 조나라에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른 사람이 많았다는 뜻으로 우국의 선비를 이르는 말
" 煙霞痼疾〔연하고질〕: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병처럼 깊음을 뜻하는 말이다.
" 燕鴻之歎〔연홍지탄〕: 봄과 가을에 엇갈리는 제비와 기러기처럼 서로 반대의 입장이 되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이다.(-燕雁代飛)
" 炎凉世態〔염량세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의 인심의 태도.
" 梧桐一葉〔오동일엽〕: 오동 한 잎을 보고 가을이 온 것을 안다. 한 가지 구실을 보면 일의 전말을 알 수 있다는 말로 쓰인다.
" 五車之書〔오거지서〕: 다섯 수레에 가득 실을 정도로 장서가 많음.
" 寤寐不忘〔오매불망〕: 자나깨나 잊지 못함.=寤寐思服(오매사복)
" 吾不關焉〔오불관언〕: 나는 그 일에 대하여 상관하지 않음.
"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공교롭게 우연의 일치로 어떤 일이 일어나 의심을 받게 됨의 비유.
" 吾鼻三尺〔오비삼척〕: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내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여유가 없다는 말.
" 烏飛兎走〔오비토주〕: 세월이 빨리 흘러감을 이르는 말.
" 傲霜孤節〔오상고절〕: 서릿발 날리는 추운 때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를 뜻한다.
" 五言長城〔오언장성〕: 오언시(五言詩)를 잘 짓는 것이나 만리장성(萬里長城)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바랄 수 없는 일임을 비유하는 말이다.
" 吳牛喘月〔오우천월〕: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달을 해로 착각하고 헐떡인다는 뜻으로 공연한 일에 지레 겁을 먹음의 비유
" 玩物喪志〔완물상지〕: 쓸 데 없는 물건을 가지고 노는 데 정신이 팔려 소중한 자기의 의지를 잃음. 물질에만 너무 집착한다면 마음 속의 빈곤을 가져와 본심을 잃게 됨을 비유한 말이다. 고사성어 검색
" 王侯將相〔왕후장상〕: 제왕과 제후와 장수와 재상을 함께 이르는 말.
" 外柔內剛〔외유내강〕: 겉보기에 부드럽고 순한 듯하나 속은 꿋꿋하고 굳셈.
" 外親內疎〔외친내소〕: 겉으로는 친한 척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함.
" 樂山樂水〔요산요수〕: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산수를 좋아함을 이르는 말.
" 요原之火〔요원지화〕: 무서운 기세로 불타고 있는 벌판. 곧, 세력이 막강해서 막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고사성어 검색
" 窈窕淑女〔요조숙녀〕: 착하고 얌전한 여자.
" 欲巧反拙〔욕교반졸〕: 기교를 너무 부리면 도리어 못 하게 됨.
" 欲死無地〔욕사무지〕: 죽으려고 하여도 죽을 만한 땅이 없다는 뜻으로 매우 분하고 원통함
" 欲燒筆硯〔욕소필연〕: 붓과 벼루를 태워버리고 싶다. 남이 지은 문장의 뛰어남을 보고 자신의 재주가 그에 미치지 못함을 탄식하는 말이다.
" 欲速不達〔욕속부달〕: 서두르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 고사성어 검색
" 龍頭蛇尾〔용두사미〕: 머리는 용이고 꼬리는 뱀이라는 뜻, 시작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짐의 비유. " 龍蛇飛騰〔용사비등〕: 용이 날아 오르는 것같이 잘 쓴 글씨의 필세를 이르는 말.
" 龍如得雲〔용여득운〕: 용이 구름을 얻듯이 큰 인물이 활동할 기회를 얻음의 비유.
" 龍虎相搏〔용호상박〕: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두 강자의 싸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愚 公〔우 공〕: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리석게 보이는 일도 꾸준하게 끝까지 한다면 아무리 큰 일이라도 할 수 있다는 비유
" 憂國之士〔우국지사〕: 나라의 앞일을 근심하고 염려하는 사람.
" 牛刀割鷄〔우도할계〕: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하는데 너무 큰 기구를 사용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牛수馬勃〔우수마발〕: 소의 오줌과 말의 똥이라는 뜻으로 아무 가치 없는 말이나 글
" 迂餘曲折〔우여곡절〕: 여러 가지로 뒤얽힌 복잡한 사정이나 변화.
" 右往左往〔우왕좌왕〕: 오른쪽으로 갔다 왼쪽으로 갔다 함. 어떤 일을 결정 짓지 못하고 망설임.
" 牛耳讀經〔우이독경〕: `쇠귀에 경 읽기'란 뜻으로,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愚者一得〔우자일득〕: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여러 일을 하거나 생각하다 보면 간혹 슬기로운 것도 있다는 뜻.
" 愚者千慮〔우자천려〕: 어리석은 자의 많은 생각.
" 羽化登仙〔우화등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감. 또는, 술에 취하여 좋은 기분에 도취됨.
" 雨後竹筍〔우후죽순〕: 비 온 뒤에 죽순이 돋아나듯, 어떤 일이 일시에 많이 일어남의 비유.
" 雲散霧散〔운산무산〕: 구름이 흩어지고 안개가 사라지듯, 근심이나 걱정이 깨끗이 사라짐의 비유.
" 雲泥之差〔운니지차〕: 구름과 진흙의 차이. 천지지차(天地之差)와 같은 말. 사정이 크게 다름.
" 雲上氣稟〔운상기품〕: 속됨을 벗어난 고상한 기질과 성품
" 運數所關〔운수소관〕: 모든 일이 능력이나 노력에 상관없이 운수에 달려 있다는 생각.
" 雲霓之望〔운예지망〕: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라듯 그 희망이 간절함을 비유하는 말.
" 雲雨之情〔운우지정〕: 남녀간의 육체적인 사랑.
" 雲中白鶴〔운중백학〕: 구름 속의 학이란 뜻으로, 속세를 벗어난 고매한 인물의 비유.
" 遠禍召福〔원화소복〕: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遠親 不如近隣〔원친 불여근린) : 멀리 있는 친척은 가까운 이웃만 못하다.
" 遠禍召福〔원화소복〕: 재난을 멀리하고 복을 불러옴
" 月滿則虧〔월만즉휴〕: 달도 차면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성하면 쇠퇴하게 된다는 말.
" 月明星稀〔월명성희〕: 달이 밝으면 별빛은 희미해진다는 뜻. 곧, 한 영웅이 나타나면 다른 군웅〔群雄〕의 존재가 희미해짐의 비유.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밝고 바람은 선선함. 달이 밝은 가을밤의 경치를 형용한 말.
" 月盈則食〔월영즉식〕: 달이 꽉 차서 보름달이 되고 나면 줄어들어 밤하늘에 안보이게 된다.
한번 흥하면 한번은 망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 月態花容〔월태화용〕: 달 같은 태도와 꽅 같은 얼굴. 미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 危機一髮〔위기일발〕: 눈앞에 닥친 아주 위급한 순간.
" 謂鹿爲馬〔위록위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는 뜻,사리에 맞지 않는 억지 주장,지록위마
" 爲富不仁〔위부불인〕: 치부〔致富〕하려면 자연히 어질지 못한 일을 하게 된다는 말.
" 渭樹江雲〔위수강운〕: 위수(渭水)에 있는 나무와 위수를 지나와 강수(江水) 위에 떠 있는 구름.
떨어져 있는 두 곳의 거리가 먼 것을 이르는 말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벗이 서로 그리워하는 말.
" 危如朝露〔위여조로〕: 아침 이슬은 해가 뜨면 곧 사라지듯이 위기가 임박해 있음을 말함.
" 威而不猛〔위이불맹〕: 위엄(威嚴)은 있으나 결코 난폭하지 않음.
" 爲人設官〔위인설관〕: 어떤 사람을 위해 벼슬자리를 새로이 마련함.
" 韋編三絶〔위편삼절〕: 한 책을 되풀이하여 숙독함의 비유. 공자가 만년에 역경易經〕
을 좋아하여 즐겨 읽는 바람에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 有口無言〔유구무언〕: 입은 있으나 할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음을 이르는 말.
" 有口不言〔유구불언〕: 입은 있으되 말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특별히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柔能制剛〔유능제강〕: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한 것을 이김.고사성어 검색
" 有德者 必有言〔유덕자 필유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본받을 만한 훌륭한 말을 함.
" 有名無實〔유명무실〕: 이름만 있고 실상이 없음. 또, 평판과 실제가 같지 않음.
" 有無相通〔유무상통〕: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서로 통한다는 뜻.
" 柳綠花紅〔유록화홍〕: 버들은 푸르고 꽃은 붉다. 자연에 조금도 인공을 가하지 않음을 일컫는 말.
" 類萬不同〔유만부동〕: 비슷한 것들은 수만 가지가 있어도 같지는 않다.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불역낙호〕: 벗이 멀리서 찾아주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流芳百世〔유방백세〕: 꽃다운 이름을 후세까지 길이 전함.(반)遺臭萬年(유취만년)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온다면 이 또한 즐거운 일
" 有備無患〔유비무환〕: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우환을 당하지 아니함.
" 流水不腐〔유수불부〕: 흐르는 물은 썩지 않음.
" 有始有終〔유시유종〕: 시작할 때부터 끝을 맺을 때까지 변함이 없음.
" 唯我獨尊〔유아독존〕: 이 세상에 나보다 존귀한 사람은 없다는 말.
자기만 잘 났다고 자부하는 독선적인 태도의 비유.
" 有耶無耶〔유야무야〕: 있는지 없는지 모르게 희미함
" 流言蜚語〔유언비어〕: ①아무 근거 없이 떠도는 소문. ②남을 모략하려고 퍼뜨리는 뜬소문
" 有爲變轉〔유위변전〕: 세상은 항상 변화무쌍하여 잠시도 머물러 있는 법이 없다는 뜻.
" 類類相從〔유유상종〕: 같은 무리끼리 서로 친하게 사귐.
" 悠悠自適〔유유자적〕: 속세를 떠나 아무 것에도 속박 당하지 않고 편안히 살아감.
" 唯一無二〔유일무이〕: 둘이 아니고 오직 하나뿐이라는 뜻으로, 오직 하나밖에 없음.
" 有終之美〔유종지미〕: 끝을 잘 맺는 아름다움이라는 뜻으로
" 六尺之孤〔육척지고〕: 열 너더댓 살의 부모 없는 아이. (출처 : 논어 )
" 肉腐出蟲〔육부출충〕: 모든 일은 근본이 잘못되면 폐단이 백출한다는 것.(출처 : 순자)
" 肉山脯林〔육산포림〕: 고기와 술이 많음을 이름. (출처 : 제왕세기)
" 允文允武〔윤문윤무〕: 문무와 덕을 갖춘 착한 임금을 형용한 말. (출처 : 시경)
" 殷鑑不遠〔은감불원〕: 남의 필패를 나의 거울로 삼음. (고사성어 참고 )
" 隱居放言〔은거방언〕: 속세를 피하여 혼자 지내면서 품고 있는 생각을 거리낌 없이 말하는 것.
" 恩深怨生〔은심원생〕: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이 도를 넘치면 오히려 원망을 받는다는 뜻.
" 隱忍自重〔은인자중〕: 속으로 참으며 몸가짐을 조심함.
" 陰德陽報〔음덕양보〕: 남 모르게 덕을 베풀면 뒤에 보답을 받게 된다는 말.
飮馬投錢〔음마투전〕: 말에게 물을 먹일 때 먼저 돈을 물 속에 던져서 물값을 지불할 정도로 결백한 행실을 비유하는 말.
" 吟風弄月〔음풍농월〕: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놀음
" 應接不暇〔응접불가〕: 일일이 인사할 사이가 없다는 말로 아주 바쁨을 형용 (출처 : 세설언어)
" 衣錦경衣〔의금경의〕: 비단 옷을 입고 그 위에 안을 대지 않은 홑옷을 또 입는다. 군자가 미덕을 갖추고 있으나 이를 자랑하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衣錦絅衣로도 쓴다)
" 義方之訓〔의방지훈〕: 아버지가 아들에게 하는 교훈(출처 : 左傳)
" 疑人勿使 使人勿疑〔의인물사 사인물의〕: 사람을 의심하면 그 사람을 부리지 말고 사람을 부리면 그 사람을 의심하지 말아라.
" 疑人勿用 用人勿疑〔의의물용 용인물의〕:사람을 의심하거든 쓰지말고, 사람을 썼거든 의심 말라.
先見之明〔선견지명〕: 앞일을 미리 내다보는 지혜.
" 先公後私〔선공후사〕: 사(私)보다 공(公〕을 앞세움. 사사로운 일이나 이익보다 공익을 앞세움.
" 先禮後學〔선례후학〕: 먼저 예의를 배우고 나중에 학문을 배우라는 뜻.
" 先發制人〔선발제인〕: 본래는 전쟁에서 기선을 제압해야 승리할 수 있다는 뜻.
남보다 앞서 일을 도모하면 능히 남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로 쓰인다.
" 仙姿玉質〔선자옥질〕: 선녀같은 모습과 옥같은 바탕. 용모가 아름답고 재질도 뛰어남을 뜻
" 善始善終〔선시선종〕: 처음이나 끝이나 한결같이 잘 함.
" 先憂後樂〔선우후락〕: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길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긴다는 뜻
군자〔君子〕의 마음가짐을 이르는 말.
" 先從외始〔선종외시〕: 먼저 외부터 시작하라는 고사에서 나온 말,
큰 뜻을 이루려면 우선 비근한 일에서부터 시작하라는 의미 고사성어 검색
" 雪泥鴻爪〔설니홍조〕: 눈 위에 지나간 기러기의 발자취가 눈이 녹은 뒤에는 흔적 없이 사라지는 것
인생의 자취가 흔적이 없음의 비유
" 舌芒於劍〔설망어검〕: 혀가 칼보다 날카롭다. 논봉(論鋒)이 날카로움을 뜻한다.
" 雪膚花容〔설부화용〕: 눈처럼 흰 살결과 꽃처럼 아름다운 얼굴이란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의 용모를 형용하는 말.
"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또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겹침을 이름.
" 說往說來〔설왕설래〕: 옳고 그름을 따지느라고 서로 옥신각신함.
" 雪中松柏〔설중송백〕: 송백은 눈 속에서도 그 색이 변하지 않는다,
사람의 절조(節操)가 굳은 데 비유하는 말
" 纖纖玉手〔섬섬옥수〕: 가냘프고 고운 여자의 손을 형용하는 말이다.
" 誠敬是寶〔성경시보〕: 성실 공경 이것이 보배다.
" 聲東擊西〔성동격서〕: 동쪽을 치는 듯이 하면서 실제로는 서쪽을 친다는 뜻으로,
상대를 기만하여 공격함의 비유.고사성어 검색
" 盛者必衰〔성자필쇠〕: 한 번 성한 자는 반드시 쇠할 때가 있다는 말.
" 城下之盟〔성하지맹〕: 성〔城〕: 밑에서 강화의 맹약을 체결한다는 뜻,대단히 굴욕적인 항복
" 城狐社鼠〔성호사서〕: 임금 옆에 있는 간사한 신하를 말한다.
" 洗踏足白〔세답족백〕: 상전의 빨래에 종의 발꿈치가 희게 되었다는 말,
남을 위해 한 일이 자신에게도 이롭게 되었다는 뜻
" 世德長祥〔세덕장상〕: 덕으로 처세하면 길이 상서롭다.
" 勢利之交〔세리지교〕: 권세와 이익을 얻기 위한 교제.
" 世俗五戒〔세속오계〕: 신라 진평왕 때 원광법사가 지은 화랑의 다섯 가지 계율. 곧, 사군이충〔事君以忠〕,사친이효〔事親以孝〕,교우이신〔交友以信〕,임전무퇴〔臨戰無退〕,살생유택〔殺生有擇]
" 歲寒三友〔세한삼우〕: 추운 겨울에 잘 견디는 소나무·대나무·매화나무를 일컫는 말.
"[少年易老學難成 〔소년이로 학난성] 소년은 늙기 쉬우나, 학문을 이루기는 어렵다
[一寸光陰不可輕 〔일촌광음 불가경〕순간 순간의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마라.
[未覺池塘春草夢 〔미각지당 춘초몽〕연못가의 봄 풀이 채 꿈도 깨기 전에
[階前梧葉已秋聲 〔계전오엽 이추성〕섬돌 앞 오동나무 잎이 가을을 알린다.
" 笑裏藏刀〔소리장도〕: 외면으로는 웃으면서 온화한 척 하지만, 마음 속에는 음흉하게 칼을 품고 있음. 얼굴에 미소를 띄우고 있지만 속에는 해칠 뜻을 품고 있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口蜜腹劍)
" 笑而不答〔소이부답〕: 웃기만 하고 대답을 하지 않음.
" 騷人墨客〔소인묵객〕: 시문〔詩文〕·서화〔書 〕를 일삼는 사람. 곧, 시인·문인·서예가·화가.
" 小人之勇〔소인지용〕: 혈기에서 오는 필부〔匹夫〕의 용기.
" 小貪大失〔소탐대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오히려 큰 것을 잃음.
" 速去千里〔속거천리〕 : 어서 멀리 가라는 뜻으로 귀신을 물리칠 때에 쓰는 말.
" 束手無策〔속수무책〕: 손을 묶은 듯이 어찌할 방책이 없음.
" 孫康映雪〔손강영설〕: 손강(孫姜)이 집이 가난하여 기름을 구하지 못해서 쌓인 눈빛에 비추어 책을
읽었다는 고사. 어려운 가운데 고생하면서 공부한다는 비유로 쓰인다.
"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하늘이 명(命)을 통해 부여해 준 자신의 '본성(本性)'을 잘 파악하고
발달시키는 것 그것을 일컬어 '도(道)' 즉, 자신의 '길'이라고 한다.
" 送舊迎新〔송구영신〕: 묵은 것을 보내고 새 것을 맞음. 또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 松茂栢悅〔송무백열〕: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남이 잘 되는 것을 기뻐함
" 松柏之操〔송백지조〕: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처럼 변하지 않는 지조.
" 首邱初心〔수구초심〕: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 살던 굴 쪽으로 두고 죽는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비유한 말
" 水到魚行〔수도어행〕: 물이 이르르면 고기가 그 물 속을 가게 된다. 무슨 일이건 때가 되면 이루어진다는 의미.
" 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 자신에게 주어진 명(命)을 파악하고 본성(本性)을 발달시켜야 하는 자신의 길(道)을 꾸준히 다듬어 나가는 것 그것을 일컬어 '본받음(敎)'이라고 한다.
" 壽福康寧〔수복강녕〕: 오래 살고 행복하며, 건강하고 평안함.
" 手不釋卷〔수불석권〕: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늘 글을 읽음을 이르는 말.
" 袖手傍觀〔수수방관〕: 팔짱을 끼고 곁에서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간섭하지 않고 그냥 내버려 둠.
" 修身齊家〔수신제가〕: 자기의 몸을 닦고 집안 일을 잘 다스림.
" 水深可知 人心難測〔수심가지 인심난측: 물의 깊이는 알 수 있으나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 어렵다
" 水魚之交〔수어지교〕: 물과 물고기의 사귐이란 뜻, 임금과 신하 또는 부부 사이처럼 매우 친밀한
관계를 이르는 말.
" 羞惡之心〔수오지심〕: 자신의 그릇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바르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 樹欲靜而 風不止〔수욕정이 풍부지〕: 나무가 고요하고 싶어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부모님께 효도를 하고 싶어도 이미 때 늦어 돌아가시고 계시지 않음을 슬퍼하는 말.(=樹風之歎)
" 誰怨誰咎〔수원수구〕: 누굴 원망하며 누굴 탓할 것인가. 남을 원망하거나 책망할 것이 없음.
" 水至淸則 無魚〔수지청즉 무어〕: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숨을 곳이 없으므로 살지 않는다. 사람이 너무 야박하거나 지나치게 똑똑하면 다른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피하여 벗을 사귀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 菽麥不辯〔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 분간할 줄 모른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난 사람의 비유
" 宿虎衝鼻〔숙호충비〕: 자는 범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공연히 화를 부르는 일을 이르는 말.
" 純潔無垢〔순결무구〕: 아주 깨끗하여 조금도 티가 없음.
" 脣齒之國〔순치지국〕: 이해관계가 밀접하여 입술과 이와의 관계같은 나라.
" 膝甲盜賊〔슬갑도적〕: 남의 시문(詩文)을 표절하여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 崇德廣業〔숭덕광업〕: 높은 덕과 큰 사업. 또, 덕을 높이고 업을 넓힘.
" 是非曲直〔시비곡직〕: 옳고 그르고 굽고 곧음. 곧, 잘잘못.
" 是非之心〔시비지심〕: 시비를 가릴 줄 아는 마음.
" 是是非非〔시시비비〕: 옳은 것은 옳고 그른 것은 그르다고 판단함.
" 是耶非耶〔시야비야〕: 옳으니 그르니 하고 시비를 가림.
" 尸位素餐〔시위소찬〕: 이루어 놓은 아무 공도 없이 헛되이 관록(官祿)만 먹음을 일컫는 말.
" 施惠種德〔시혜종덕〕: 은혜를 베풀고 덕을 심는다.
" 信賞必罰〔신상필벌〕: 상과 벌을 규정대로 엄격하게 함.
" 身言書判〔신언서판〕: 당나라 때 관리를 뽑는 기준으로 삼았던, 사람이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조건.
곧, 신수·언사·문필·판단력.
" 身體髮膚〔신체발부〕: 몸·머리·피부. 곧, 몸 전체를 말함.
" 神出鬼沒〔신출귀몰〕: 귀신처럼 자유자재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여 그 변화를 헤아리기 어려움.
" 身土不二〔신토불이〕: 몸과 태어난 땅은 하나라는 뜻으로, 제 땅에서 산출된 것이라야
체질에 잘 맞는다는 말.
"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나 진상을 연구하는 일.
" 實踐躬行〔실천궁행〕: 몸소 실천함.
" 十匙一飯〔십시일반〕: 열 사람이 밥 한 숟갈씩 보태면 한 사람의 끼니가 된다는 뜻으로,
여럿이 한 사람을 돕기는 쉽다는 말.
" 兒童走卒〔아동주졸〕: 철없는 아이들과 어리석은 사람들.
" 阿鼻叫喚〔아비규환〕: ①아비 지옥과 규환 지옥. ②참혹한 고통 중에 살려 달라고 울부짖는 소리.
" 我田引水〔아전인수〕: 제 논에 물대기'란 뜻으로, 자기에게 유리하게 생각하거나 행동함.
" 惡木盜泉〔악목도천〕: 더워도 나쁜 나무 그늘에서는 쉬지 않으며, 목이 말라도 도〔盜〕란 나쁜
이름이 붙은 샘물은 마시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란해도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음의 비유.
" 惡衣惡食〔악의악식〕: 좋지 못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런 옷과 음식.
" 眼高手卑〔안고수비〕: 눈은 높으나 실력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뜻. 전에는 사치하게 살던 사람이 가난해져 눈은 높고 돈은 전처럼 쓰지 못할 경우를 일컫기도 한다.
" 惡因惡果〔악인악과〕: 악한 일을 하면 반드시 그 결과가 나쁘게 나타난다는 말.
" 安分知足〔안분지족〕: 자기 분수를 지키며 만족할 줄을 앎.
" 安不忘危〔안불망위〕: 편안할 때도 마음을 놓지 않고 위태로움에 항상 대비함.
" 安貧樂道〔안빈낙도〕: 가난한 생활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김.
" 雁 書〔안 서〕: 철따라 이동하는 기러기가 먼 곳에 소식을 전한다는 뜻으로, 편지를 일컫는 말.
" 眼中之人〔안중지인〕: 눈 속에 있는 사람. 정(情)든 사람을 뜻한다. 눈 앞에 있는 사람을 가리켜 말하기도 하고, 눈 앞에 없어도 평생 사귄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 安心立命〔안심입명〕: 천명〔天命〕을 깨닫고 생사〔生死〕·이해를 초월하여 마음의 평안을 얻음.
" 眼下無人안하무인〕: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 사람됨이 교만하여 남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 壓 卷〔압 권〕: 책이나 예술작품, 공연물 등에서 가장 뛰어난 부분 또는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일컫는 말
" 仰不愧於天〔앙불괴어천〕: 우러러 하늘을 보아도 조금도 부끄럽지 않음.
" 愛國愛族〔애국애족〕: 자기의 나라와 겨레를 사랑함.
" 愛別離苦〔애별리고〕: 불교에서 말하는 팔고 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괴로움.
" 曖昧模糊〔애매모호〕: 사물의 이치가 희미하고 분명치 않음.
" 哀絲豪竹〔애사호죽〕: 관현의 소리가 비장하여 사람을 감동시킴을 이름.
" 哀而不傷〔애이불상〕: 슬퍼허나 마음이 상하지 않도록 슬퍼함.
" 愛人者 人恒愛之〔애인자 인항애지〕: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사랑해준다.
" 愛人如己〔애인여기〕: 남을 자기 몸같이 사랑함.
" 愛之重之〔애지중지〕: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김.
" 哀毁骨立〔애훼골립〕: 부모의 죽음을 슬퍼하여 몸이 바싹 여윔.
" 弱肉强食〔약육강식〕: 약한 자는 강한 자에게 먹힘. 생존 경쟁의 살벌함을 말함.
" 陽 臺〔양 대〕: 해가 잘 비치는 대. 남녀의 정교(情交)를 의미한다.
" 陽臺 不歸之雲〔양대 불귀지운〕: 한 번 정교(情交)를 맺고 다시는 만나지 못하는 것을 비유.
" 量 自 力〔양 자 력〕 : 자기 자신의 능력의 정도는 자신만이 안다는 의미. 어떤 일을 마음이 곧고 충실하게 탐구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 良志良能〔양지양능〕: 교육이나 체험에 의하지 아니하고 선천적으로 알고 행할 수 있는 능력.
" 養志之孝〔양지지효〕: 항상 부모의 뜻을 받들어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는 효행.
" 養虎後患〔양호후환〕: 범을 길렀다가 그 범에 물린다는 뜻으로, 은혜를 베풀었다가 도리어 해를 당함을 비유하여 이름. =양호유환〔養虎遺患〕고사성어 참고
" 魚頭肉尾〔어두육미〕: 생선은 대가리 쪽이, 짐승은 꼬리 쪽이 맛이 좋다는 말.
魚目燕石〔어목연석〕: 어목(魚目)은 물고기의 눈, 연석(燕石)은 燕山의 돌. 모두 玉과 비슷하여 옥으로 혼동함. 허위를 진실로 우인(愚人)을 현인(賢人)으로 혼동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 魚網鴻離〔어망홍리〕: 물고기를 잡으려고 쳐놓은 그물에 기러기가 걸린다는 뜻으로 구하는 것이 아닌 딴 것을 얻을 때를 비유한 말
" 魚變成龍〔어변성룡〕: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된다는 말로 아무 보잘것없고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됨을 비유
" 語不成說〔어불성설〕: 말이 도무지 사리에 맞지 않음. 말이 되지 않음.
" 魚遊釜中〔어유부중〕: 솥 안에서 물고기가 논다는 뜻으로 살아 있기는 해도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비유
" 抑强扶弱〔억강부약〕: 강한 자를 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줌.
" 偃鼠之望〔언서지망〕: 쥐는 작은 동물이라서 강물을 마신대야 자기 배 하나 가득히밖에 더 못 마신다. 자기 정한 분수가 있으니 안분(安分)하라는 말이다.
" 焉敢生心〔언감생심〕: `어찌 감히 그런 마음을 먹을 수 있으랴'라는 뜻.
" 言飛千里〔언비천리〕: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는 뜻으로, 말이 빠르게 멀리 퍼진다는 말.
" 言語道斷〔언어도단〕: 너무 엄청나게 사리에 어긋나 말문이 막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 말로 나타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言中有骨〔언중유골〕: 예사로운 말속에 뼈 같은 속뜻이 있다는 말.
" 言則是也〔언즉시야〕: 말이 사리에 맞는다.
" 掩目捕雀〔엄목포작〕: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으려 한다. 일을 성취하려면 성실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뜻.
" 言行一致〔언행일치〕: 하는 말과 행동이 같음.
" 掩耳盜鈴〔엄이도령〕: 제 귀를 가리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나쁜 짓을 하면서 그것을 굳이 생각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을 비유한 말
" 如足如手〔여족여수〕: 형제는 몸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팔다리와 같다는 말.
" 如履薄氷〔여리박빙〕: 엷은 얼음을 밟는 듯 매우 위험한 것을 뜻함.
" 與物爲春〔여물위춘〕: 만물과 함께 봄을 즐긴다는 뜻. [출처]장자 덕충부편
" 與民同樂〔여민동락〕: 왕이 백성과 즐거움을 함께 나눔을 말한다.
" 如 反 掌〔여 반 장〕: 손바닥을 뒤집는 것과 같이 매우 쉬움.(-易如反掌)
" 與朋友交而不信乎〔여붕우교이불신호〕 : 증자(曾子)가 하루에 세 가지를 돌아본 것 중의 하나로 벗과 사귀는 데에 신의로서 하지 않은 것이 있었는가?
" 與子同袍〔여자동포〕: 자네와 두루마기를 같이 입겠네. 친구사이에 서로 허물없이 무관하여 하는 말.
" 與鳥過目〔여조과목〕: 새가 눈앞을 스쳐 날아가는 것처럼 빨리 지나치는 것에 비유한 말[출처]張協의 詩
" 與足與手〔여족여수〕: 형제간의 정의가 두터워 수족과 같다는 말.[출처]李華의 조고전장문
" 與쾌等伍〔여쾌등오〕: 한나라 한신이 살아 있을 때 번쾌와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하여 한탄한 말 [출처]사기 회음후전
" 與風過耳〔여풍과이〕: 바람이 귀를 지나가듯 조금도 그 일에 관련이 없음.[출저]吳越春秋
" 力拔山 氣蓋世〔역발산기개세〕: 힘은 산을 뽑고 기상은 세상을 덮을만하다. 항우(項羽)의 힘센 기상을 비유한 말. 영웅의 힘이 세고 기상이 큰 것을 일컬음.(-拔山蓋世)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자기 자식을 자기가 직접 가르치면 폐단이 많으므로 다른 사람의 자식을 자기가 직접 가르치고 자기의 자식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어 가르치게 함
" 易地思之〔역지사지〕: 상대편의 처지에서 생각함.
" 鉛刀一割〔연도일할〕: 납으로 만든 칼도 한번은 자를 힘이 있다. 자기의 힘은 미약하다고 겸손하게 하는 말로도 쓰이며, 소인배도 한번은 착한 일을 할 수 있으나 두번은 계속해서 할 수 없다는 말로도 쓰인다.
" 鳶飛魚躍〔연비어약〕: 하늘에 솔개가 날고 물 속에 고기가 뛰어노는 것이 자연스럽고 조화로운데, 이는 솔개와 물고기가 저마다 나름대로의 타고난 길을 가기 때문이다. 만물이 저마다의 법칙에 따라 자연스럽게 살아가면, 전체적으로 천지의 조화를 이루게 되는 것이 자연의 오묘한 도(道)임을 말한다. 고사성어 참고
" 燕雁代飛〔연안대비〕: 제비가 날아올 때는 기러기는 날아가고 기러기가 올 때는 제비가 날아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간다는 뜻
" 燕雀 安知鴻鵠之志哉〔연작 안지홍곡지지재〕: 제비나 참새 따위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큰 뜻을 알리요 라는 뜻으로 소인은 군자나 대인의 큰 뜻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말
" 燕趙悲歌士〔연조비가사〕: 춘추전국시대 연나라와 조나라에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른 사람이 많았다는 뜻으로 우국의 선비를 이르는 말
" 煙霞痼疾〔연하고질〕: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병처럼 깊음을 뜻하는 말이다.
" 燕鴻之歎〔연홍지탄〕: 봄과 가을에 엇갈리는 제비와 기러기처럼 서로 반대의 입장이 되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이다.(-燕雁代飛)
" 炎凉世態〔염량세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고, 세력이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의 인심의 태도.
" 梧桐一葉〔오동일엽〕: 오동 한 잎을 보고 가을이 온 것을 안다. 한 가지 구실을 보면 일의 전말을 알 수 있다는 말로 쓰인다.
" 五車之書〔오거지서〕: 다섯 수레에 가득 실을 정도로 장서가 많음.
" 寤寐不忘〔오매불망〕: 자나깨나 잊지 못함.=寤寐思服(오매사복)
" 吾不關焉〔오불관언〕: 나는 그 일에 대하여 상관하지 않음.
" 烏飛梨落〔오비이락〕: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뜻으로, 공교롭게 우연의 일치로 어떤 일이 일어나 의심을 받게 됨의 비유.
" 吾鼻三尺〔오비삼척〕: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내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여유가 없다는 말.
" 烏飛兎走〔오비토주〕: 세월이 빨리 흘러감을 이르는 말.
" 傲霜孤節〔오상고절〕: 서릿발 날리는 추운 때에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를 뜻한다.
" 五言長城〔오언장성〕: 오언시(五言詩)를 잘 짓는 것이나 만리장성(萬里長城)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바랄 수 없는 일임을 비유하는 말이다.
" 吳牛喘月〔오우천월〕: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달을 해로 착각하고 헐떡인다는 뜻으로 공연한 일에 지레 겁을 먹음의 비유
" 玩物喪志〔완물상지〕: 쓸 데 없는 물건을 가지고 노는 데 정신이 팔려 소중한 자기의 의지를 잃음. 물질에만 너무 집착한다면 마음 속의 빈곤을 가져와 본심을 잃게 됨을 비유한 말이다. 고사성어 검색
" 王侯將相〔왕후장상〕: 제왕과 제후와 장수와 재상을 함께 이르는 말.
" 外柔內剛〔외유내강〕: 겉보기에 부드럽고 순한 듯하나 속은 꿋꿋하고 굳셈.
" 外親內疎〔외친내소〕: 겉으로는 친한 척하면서 속으로는 멀리함.
" 樂山樂水〔요산요수〕: 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산수를 좋아함을 이르는 말.
" 요原之火〔요원지화〕: 무서운 기세로 불타고 있는 벌판. 곧, 세력이 막강해서 막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고사성어 검색
" 窈窕淑女〔요조숙녀〕: 착하고 얌전한 여자.
" 欲巧反拙〔욕교반졸〕: 기교를 너무 부리면 도리어 못 하게 됨.
" 欲死無地〔욕사무지〕: 죽으려고 하여도 죽을 만한 땅이 없다는 뜻으로 매우 분하고 원통함
" 欲燒筆硯〔욕소필연〕: 붓과 벼루를 태워버리고 싶다. 남이 지은 문장의 뛰어남을 보고 자신의 재주가 그에 미치지 못함을 탄식하는 말이다.
" 欲速不達〔욕속부달〕: 서두르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다. 고사성어 검색
" 龍頭蛇尾〔용두사미〕: 머리는 용이고 꼬리는 뱀이라는 뜻, 시작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짐의 비유. " 龍蛇飛騰〔용사비등〕: 용이 날아 오르는 것같이 잘 쓴 글씨의 필세를 이르는 말.
" 龍如得雲〔용여득운〕: 용이 구름을 얻듯이 큰 인물이 활동할 기회를 얻음의 비유.
" 龍虎相搏〔용호상박〕: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두 강자의 싸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愚 公〔우 공〕: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리석게 보이는 일도 꾸준하게 끝까지 한다면 아무리 큰 일이라도 할 수 있다는 비유
" 憂國之士〔우국지사〕: 나라의 앞일을 근심하고 염려하는 사람.
" 牛刀割鷄〔우도할계〕: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하는데 너무 큰 기구를 사용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牛수馬勃〔우수마발〕: 소의 오줌과 말의 똥이라는 뜻으로 아무 가치 없는 말이나 글
" 迂餘曲折〔우여곡절〕: 여러 가지로 뒤얽힌 복잡한 사정이나 변화.
" 右往左往〔우왕좌왕〕: 오른쪽으로 갔다 왼쪽으로 갔다 함. 어떤 일을 결정 짓지 못하고 망설임.
" 牛耳讀經〔우이독경〕: `쇠귀에 경 읽기'란 뜻으로,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愚者一得〔우자일득〕: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여러 일을 하거나 생각하다 보면 간혹 슬기로운 것도 있다는 뜻.
" 愚者千慮〔우자천려〕: 어리석은 자의 많은 생각.
" 羽化登仙〔우화등선〕: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감. 또는, 술에 취하여 좋은 기분에 도취됨.
" 雨後竹筍〔우후죽순〕: 비 온 뒤에 죽순이 돋아나듯, 어떤 일이 일시에 많이 일어남의 비유.
" 雲散霧散〔운산무산〕: 구름이 흩어지고 안개가 사라지듯, 근심이나 걱정이 깨끗이 사라짐의 비유.
" 雲泥之差〔운니지차〕: 구름과 진흙의 차이. 천지지차(天地之差)와 같은 말. 사정이 크게 다름.
" 雲上氣稟〔운상기품〕: 속됨을 벗어난 고상한 기질과 성품
" 運數所關〔운수소관〕: 모든 일이 능력이나 노력에 상관없이 운수에 달려 있다는 생각.
" 雲霓之望〔운예지망〕: 큰 가뭄에 구름과 무지개를 바라듯 그 희망이 간절함을 비유하는 말.
" 雲雨之情〔운우지정〕: 남녀간의 육체적인 사랑.
" 雲中白鶴〔운중백학〕: 구름 속의 학이란 뜻으로, 속세를 벗어난 고매한 인물의 비유.
" 遠禍召福〔원화소복〕: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遠親 不如近隣〔원친 불여근린) : 멀리 있는 친척은 가까운 이웃만 못하다.
" 遠禍召福〔원화소복〕: 재난을 멀리하고 복을 불러옴
" 月滿則虧〔월만즉휴〕: 달도 차면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성하면 쇠퇴하게 된다는 말.
" 月明星稀〔월명성희〕: 달이 밝으면 별빛은 희미해진다는 뜻. 곧, 한 영웅이 나타나면 다른 군웅〔群雄〕의 존재가 희미해짐의 비유.
"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밝고 바람은 선선함. 달이 밝은 가을밤의 경치를 형용한 말.
" 月盈則食〔월영즉식〕: 달이 꽉 차서 보름달이 되고 나면 줄어들어 밤하늘에 안보이게 된다.
한번 흥하면 한번은 망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 月態花容〔월태화용〕: 달 같은 태도와 꽅 같은 얼굴. 미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 危機一髮〔위기일발〕: 눈앞에 닥친 아주 위급한 순간.
" 謂鹿爲馬〔위록위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는 뜻,사리에 맞지 않는 억지 주장,지록위마
" 爲富不仁〔위부불인〕: 치부〔致富〕하려면 자연히 어질지 못한 일을 하게 된다는 말.
" 渭樹江雲〔위수강운〕: 위수(渭水)에 있는 나무와 위수를 지나와 강수(江水) 위에 떠 있는 구름.
떨어져 있는 두 곳의 거리가 먼 것을 이르는 말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벗이 서로 그리워하는 말.
" 危如朝露〔위여조로〕: 아침 이슬은 해가 뜨면 곧 사라지듯이 위기가 임박해 있음을 말함.
" 威而不猛〔위이불맹〕: 위엄(威嚴)은 있으나 결코 난폭하지 않음.
" 爲人設官〔위인설관〕: 어떤 사람을 위해 벼슬자리를 새로이 마련함.
" 韋編三絶〔위편삼절〕: 한 책을 되풀이하여 숙독함의 비유. 공자가 만년에 역경易經〕
을 좋아하여 즐겨 읽는 바람에 책을 맨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 有口無言〔유구무언〕: 입은 있으나 할말이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음을 이르는 말.
" 有口不言〔유구불언〕: 입은 있으되 말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특별히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柔能制剛〔유능제강〕: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한 것을 이김.고사성어 검색
" 有德者 必有言〔유덕자 필유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본받을 만한 훌륭한 말을 함.
" 有名無實〔유명무실〕: 이름만 있고 실상이 없음. 또, 평판과 실제가 같지 않음.
" 有無相通〔유무상통〕: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서로 통한다는 뜻.
" 柳綠花紅〔유록화홍〕: 버들은 푸르고 꽃은 붉다. 자연에 조금도 인공을 가하지 않음을 일컫는 말.
" 類萬不同〔유만부동〕: 비슷한 것들은 수만 가지가 있어도 같지는 않다.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불역낙호〕: 벗이 멀리서 찾아주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 流芳百世〔유방백세〕: 꽃다운 이름을 후세까지 길이 전함.(반)遺臭萬年(유취만년)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온다면 이 또한 즐거운 일
" 有備無患〔유비무환〕: 미리 준비가 되어 있으면 우환을 당하지 아니함.
" 流水不腐〔유수불부〕: 흐르는 물은 썩지 않음.
" 有始有終〔유시유종〕: 시작할 때부터 끝을 맺을 때까지 변함이 없음.
" 唯我獨尊〔유아독존〕: 이 세상에 나보다 존귀한 사람은 없다는 말.
자기만 잘 났다고 자부하는 독선적인 태도의 비유.
" 有耶無耶〔유야무야〕: 있는지 없는지 모르게 희미함
" 流言蜚語〔유언비어〕: ①아무 근거 없이 떠도는 소문. ②남을 모략하려고 퍼뜨리는 뜬소문
" 有爲變轉〔유위변전〕: 세상은 항상 변화무쌍하여 잠시도 머물러 있는 법이 없다는 뜻.
" 類類相從〔유유상종〕: 같은 무리끼리 서로 친하게 사귐.
" 悠悠自適〔유유자적〕: 속세를 떠나 아무 것에도 속박 당하지 않고 편안히 살아감.
" 唯一無二〔유일무이〕: 둘이 아니고 오직 하나뿐이라는 뜻으로, 오직 하나밖에 없음.
" 有終之美〔유종지미〕: 끝을 잘 맺는 아름다움이라는 뜻으로
" 六尺之孤〔육척지고〕: 열 너더댓 살의 부모 없는 아이. (출처 : 논어 )
" 肉腐出蟲〔육부출충〕: 모든 일은 근본이 잘못되면 폐단이 백출한다는 것.(출처 : 순자)
" 肉山脯林〔육산포림〕: 고기와 술이 많음을 이름. (출처 : 제왕세기)
" 允文允武〔윤문윤무〕: 문무와 덕을 갖춘 착한 임금을 형용한 말. (출처 : 시경)
" 殷鑑不遠〔은감불원〕: 남의 필패를 나의 거울로 삼음. (고사성어 참고 )
" 隱居放言〔은거방언〕: 속세를 피하여 혼자 지내면서 품고 있는 생각을 거리낌 없이 말하는 것.
" 恩深怨生〔은심원생〕: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것이 도를 넘치면 오히려 원망을 받는다는 뜻.
" 隱忍自重〔은인자중〕: 속으로 참으며 몸가짐을 조심함.
" 陰德陽報〔음덕양보〕: 남 모르게 덕을 베풀면 뒤에 보답을 받게 된다는 말.
飮馬投錢〔음마투전〕: 말에게 물을 먹일 때 먼저 돈을 물 속에 던져서 물값을 지불할 정도로 결백한 행실을 비유하는 말.
" 吟風弄月〔음풍농월〕: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놀음
" 應接不暇〔응접불가〕: 일일이 인사할 사이가 없다는 말로 아주 바쁨을 형용 (출처 : 세설언어)
" 衣錦경衣〔의금경의〕: 비단 옷을 입고 그 위에 안을 대지 않은 홑옷을 또 입는다. 군자가 미덕을 갖추고 있으나 이를 자랑하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衣錦絅衣로도 쓴다)
" 義方之訓〔의방지훈〕: 아버지가 아들에게 하는 교훈(출처 : 左傳)
" 疑人勿使 使人勿疑〔의인물사 사인물의〕: 사람을 의심하면 그 사람을 부리지 말고 사람을 부리면 그 사람을 의심하지 말아라.
" 疑人勿用 用人勿疑〔의의물용 용인물의〕:사람을 의심하거든 쓰지말고, 사람을 썼거든 의심 말라.
'•─倉庫──────• > ▣…Study..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딕양식,바로크양식 (0) | 2009.10.05 |
---|---|
Psychopathy(사이코패스) (0) | 2009.09.28 |
클래식 음악 감상법 (0) | 2009.09.19 |
이주헌 - 서양화 자신있게 보기中에서 (0) | 2009.09.19 |
mindmap(마인드맵) (0) | 200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