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room───•/▣…그산에가다_11

2011년12월2일 - 이미, 겨울인 북한산

yeonpa(정지예) 2011. 12. 2. 21:31

 

 

 

 

2011년12월2일 - 이미, 겨울인 북한산

 

 

 

 

 

1. 코스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법용사->중성문->용학사->중흥사지->태고사->행궁지->대성암->대남문->대성문->보국문->대동문->중성문->산성탐방지원센터

 

2. 함께한 사람들 : 다음매일(금요방)

3. 날씨 : 흐림(정상부엔 눈이 쌓여있음)

4. 산행경비 : 교통비+뒤풀이=2,600+@

5. 산행거리 : 대략 6Km

6. 산행시간 :

7. 위치 :

8. 교통편 :구파발역1번출구 시내버스 34, 704번->산성입구 하차

              의정부 가능역, 안골-> 34번 버스 산성입구 하차

9. 키워드 : 북한산 산성입구, 중성문, 대남문, 대동문, 종이학님 첫 리딩, 흰눈쌓인 정상부, 대성암의 그집앞

 

 

 

 

yeonpa(연파)와 함께하는 하얀눈 살포시 쌓인 북한산 포토 리뷰합니다.

 

 

 

 

흐릴것인지 밝은 해가 비칠것인지 불분명한 안개가 드리운 아침

북한산 산성입구로 향하는 버스안에서 보이는

사패봉우리, 도봉산의  주능선, 여성봉, 오봉, 상장능선등

그 주변부가 하얗게 눈으로 덮여있다. 아핫, 하얀 겨울이다.

눈안에 들어오는 풍경이 스산한 영낙없는 겨울풍경이다.

하늘은 재빛 빛깔이며, 스산한 바람은 구름을 실어 날으고

나의 목은 움츠려 들고  발걸음은 가볍다.. 희한도 하지..

움츠림과 가벼움 두가지를  동시에 몸은 느끼고 있으니......

집결지에서 두리번 두리번 거의 시간을 맞춰 왔으므로

혹, 아는 얼굴이라도 있나 싶어서 _ ._흐흠... 안보인다.

1년여만에 평일 산행인지라 모두들 낯설으리라 하지만, 산행은 멈췄던 것이 아니므로 익숙한 얼굴은 분명 있을것이다.

찾았다. 반갑다고 ,오랜만이라고, 그동안 잘 살았느냐고,

묻고 답한다. 늘 그 마음으로 인사를 나눌 수 있으면 됐다.

 

 

 

 

 

↓   북한산산성입구~대남문

 

 

 

산성입구_원효봉과 의상봉의 라인

 

 

 

 

산성매표소 출발

 

 

 

 

 

 

 

 

 

 

 

 

종이학방장님 첫 리딩 축하 파뤼,,

 

 

 

 

 

 

케익 찬조 _ 모나리자님

 

 

 

 

 

 

 

 

 

종이학 금요방장님과 카페지기 금강야차님

 

 

 

 

 

 

 

 

 

 

 

 

 

 

 

대남문 방향으로 진행

 

 

 

 

 

보호수로 지정된 향나무

 

 

 

 

 

 

 

 

 

 

 

 

 

 

 

 

국녕사 입구 범용사 통과

 

 

 

 

 

 

중성문

 

 

 

 

 

노적사를 가려면 청운교를 건너서

 

 

 

 

 

 

 

 

 

 

 

 

 

 

 

 

 

 

 

 

용학사 옆 통과 중

 

 

 

 

 

 

 

 

 

 

 

 

 

용학사 샘터

 

 

 

 

 

 

 

 

 

 

복원중인 중흥사

 

대체 북한산에는 사찰이 몇개?

 

 

 

 

태고사 방향은 하산시 이용할 탐방로

 

 

 

 

 

 

 

 

 

 

 

 

 

▼  점심식사(행동식_식사)

 

 

 

 

 

 

 

 

 

 

 

겨울철엔 펴놓고 식사하기가 참 어설프지만

그래도 펼쳐 놓고 온몸 달달 떨며 먹는 맛도 괜찮은듯...

 

 

 

 

 

2030도 들어 갈 수 있는 연령대 아흐~부럽부럽~^^

 

 

 

 

 

 

 

 

 

 

 

 

 

 

대성암 _ 그 앞을 지날 때

잔잔하게 마음을 울리는 '그집앞' 이란 음악..

암자에서 불경이 아닌 "그 집앞"이란 음악이 흐른다는것..참 특이한 일

 

 

 

오가며 그 집앞을 지나노라면 ..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 오히려 눈에 뛸까 다시 걸어도 되오면

자리에 서졌습니다

오늘도 비 내리는 가을 저녁을 외로이 이 집 앞을 지나는 마음
잊으려 옛날 일을 잊어버리려 불빛에 빗줄기를 세며 갑니다

 

 

 

 

 

 

 

 

 

 

 

 

 

 

 

 

 

 

 

 

 

 

이미, 북한산은 겨울이었다.

 

 

 

 

 

 

 

 

 

 

 

 

 

대남문 그 앞에 서다.

 

 

 

 

 

 

 

 

 

 

 

 

 

 

 

 

 

 

 

 

 

 

 

북한산 13성문 중

가 있는 대남문.

 

 

 

 

 

 

 

 

 

 

 

 

 

 

 

 

 

 

 

 

 

 

 

 

 

 

 

 

 

 

 

 

 

 

 

 

 

 

 

 

 

 

 

 

 

 

 

 

 

 

 

 

 

보현봉

 

 

 

↓   대남문 ~ 산성매표소

 

 

 

 

 

 

 

 

 

 

 

 

 

 

 

 

성곽을 따라서,

 

 

 

 

 

 

 

 

 

 

 

 

 

 

 

 

 

 

 

 

 

 

 

 

 

 

 

 

 

 

 

 

 

 

 

 

 

 

 

 

 

 

 

 

명자꽃같이 화사하고 이쁜, 그녀

 

 

 

 

 

 

 

 

 

 

 

 

 

 

 

 

 

 

 

 

 

 

 

 

 

 

 

 

 

 

 

 

 

 

 

 

 

 

오랜만인데 더 도톰해지고 좋아진 얼굴 빛

사는게 편안한가 봅니다.

 

 

 

 

 

 

 

혼자인, 홀로인 사람들이 멋지게 보인다.

한 걸음 한 걸음에 무엇을 담고 걷는지

땅에 닿는 느낌을 즐기며 걷는것인지..

 

암튼 홀로 걷는 사람이 멋있게 보인다..

 

 

 

 

 

 

 

 

 

 

 

 

 

 

 

 

 

 

 

 

 

 

 

 

정규 탐방로를  벗어 나지 않은

열려있는 길 따라서 ...  그ㅡ것이 바로 산을 살리는 일 (탐방문화 정착)

후 세대들에게 고스란히 물려 줄 우리의 아름다운 산.. 북한산..

우리가 지키고 가꾸고 ..

우리모두가 자연 해설가가 되어 보호하고 ...

 

나부터 , 지금부터, 작은것부터,

모두가 즐겁게,,

 

 

 

 

 

 

 

 

 

 

조망좋은곳에서 잠시 쉼

 

 

 

 

노적봉 백운대 만경대 인수봉 우측으로 오봉 도봉산

 

 

 

 

 

 

 

 

 

 

 

 

 

 

 

 

 

 

 

 

 

 

 

 

 

 

 

 

 

 

 

 

 

 

 

 

 

 

 

 

 

 

 

 

 

 

 

 

 

 

 

 

 

 

 

 

 

 

 

 

 

 

 

 

 

 

 

 

 

 

 

 

 

 

 

 

 

 

 

 

 

 

 

 

 

 

 

 

 

 

 

 

 

 

칼바위 능선

 

 

 

 

대동문

 

 

 

 

중성문

 

 

 

 

 

Mountain OFF

 

 

 춥다고 느껴 질 정도의 기온 속에서

북한산 산행 함께 했던 산우님들 수고 하셨습니다

산행의 꽃, 산행의 완결판 ...ㅋㅋ...뒤풀이 마당까지 참석했더라면 좋아겠지만

산행까지만 참여

포토 리뷰는 여기까지 입니다.

 

 

 

 

 


 

  12월의 기도                 

                    목필균

                         

마지막 달력을 벽에 겁니다

얼굴에 잔주름 늘어나고

흰 머리카락이 더 많이 섞이고

마음도 많이 낡아져 가며

무사히 여기까지 걸어왔습니다.

한 치 앞도 모른다는 세상살이

일 초의 건너뜀도 용서치 않고

또박또박 품고 온 발자국의 무게

여기다 풀어놓습니다.

제 얼굴에 책임질 줄 알아야 한다는

지천명으로 가는 마지막 한 달은 숨이 찹니다.

 

겨울 바람 앞에도

붉은 입술 감추지 못하는 장미처럼

질기게도 허욕을 쫓는 어리석은 나를

묵묵히 지켜보아주는 굵은 나무들에게

올해 마지막 반성문을 써 봅니다.

추종하는 신은 누구라고 이름짓지 않아도

어둠 타고 오는 아득한 별빛같이

날마다 몸을 바꾸는 달빛 같이

때가 되면 이별할 줄 아는 사람이 되겠다는

마음의 기도로 12월을 벽에 겁니다.


 

 

 

7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