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力量──────•/▣…숲해설사

제2강 - 식물의 구성과 생장조절 그리고 물질순환

yeonpa(정지예) 2011. 6. 27. 16:39

 

 

제2강 - 식물의 구성과 생장조절 그리고 물질순환

Ⅰ. 식물의 구조와 생장

 

 1. 식물의 구조

 1) 기본조직

 가. 영양기관

 

 

 ① 잎 : 줄기가 녹색을 띠고 광합성을 한다

       . 엽신 : 잎에서 가장 넓고 편형한 부분

       . 엽병 : 잎의 자루

       . 탁엽 : 엽병 기부 도느 마디 좌우에 달린 비늘 같은 잎

       . 엽맥 : 식물의 잎에 있는 유관속

       . 자엽 : 식물 종자 속에 있는 배에서 처음에 형성된 잎

       . 향축면 : 잎의 앞면

       . 배축면 : 잎의 뒷면

 

② 줄기 : 잎과 꽃을 지지하고 있으며 교목에 있어서 줄기는 주축과 가지를 포함한다. 줄기에 잎이 달린 지점을 절이라고 하고 절과 절사이를 절간이라고 한다.

        . 상배축 : 자엽위에 있는 배의 축 부분

        . 하배축 : 자엽의 아래 부분으로 유근과 자엽

                      사이의 배축 부위

        . 정아 : 가지 끝에 달려있는 눈

        . 측아 : 잎겨드랑이에 달려있는 눈

        . 정단 : 줄기의 끝부분

 

③  뿌리 : 뿌리는 식물체를 고정하고 물과 무기염류를 흡수.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양분을 저장한다.

        . 주근 : 쌍자엽식물, 나자식물을 구성하는 뿌리

        . 수근 : 단자엽식물에 발달하는 수염뿌리

        . 측근 : 주근에서 발달하는 곁뿌리

        . 근모 : 뿌리의 표피에서 발생하는 모용의 한 유형

        . 근관 : 뿌리 정단을 덮는 골모모양으 세포로서 굴지성 조절, 중력감지, 점액다당류 분비 등의 기능

 

 

 

 

 

 

 

 

 


 

 

 

 

 

 

 

 

 

 

 


 

 

 

나. 생식기관

 

 


 


: 피자 식물의 유성생식을 위한

          구조물은 꽃이다.

        . 꽃받침 : 꽃의 가장 바깥 부분으로 꽃을 감싸서

                       보호하고, 꽃을 받쳐준다.

        . 꽃잎 : 암술과 수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곤충을 유인하여 수분이 잘 이루어지게 함.

        . 암술 :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으로 구성된다.

        . 수술 : 꽃밥(꽃가루가만들어지는곳)과

                   수술대(꽃밥지탱대)로 구성된다.           

 ② 과실(열매) : 성숙한 자방(씨) , 종자를 안주 보호하며

                        종자의 산포를 돕는다.

 ③ 종자 : 배주가 성숙하여 종자로 발달


 

 

 

 

 

 

 

 

 

 

 

 

 

 

 

 

 

 

 

 

 

Ⅱ. 자극에 대한 식물의 반응

 

1. 식물은 어떻게 생장하는가

 

 

2. 식물은 어떻게 움직일 수 있는가

굴성이란 : 식물체의 일부가 자극이 있는 쪽 혹은 그 반대쪽으로 자라게 하는 지향성 생장반응

 

1) 굴광성 : 빛에 의한 생장인 굴광성은 모든 줄기와 일부 뿌리에서 나타난다. (잎이 광합성시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2) 굴중성 : 중력에 따른 생장인 굴중성은 뿌리가 토양 아래로 자랄 수 있도록 해주고 줄기가 토양위로 자랄 수 있도록 해준다.

                발아의 초기 매우 중요하다.

3) 굴촉성 : 접촉에 따른 생장인 굴촉성은 뿌리가 바위를 둘러싸고 자랄 수 있도록 해주며 덩굴성 식물의 줄기들이 지지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를 둘러 쌀 수 있도록 해준다.

4) 경성운동 : 운동의 방향이 자극의 방향과 관련이 없는 식물의 운동을 말한다.

 

 

3. 식물은 계절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1) 꽃이 피는 것은 광주기에 대한 반응이다.

(1) 광주기성 : 낮과 밤의 길이에 따른 계절 변화를 식물이 측정하는 능력

(2) 장일식물(봄에 꽃피는 식물) : 낮 길이보다 짧은 암기를 요구하는 식물=>밤이 짧아야 꽃이 핀다.

(3) 단일식물(가을에 꽃피는 식물) : 낮길이보다 긴 밤시간을 요구하는 식물=>밤이 길어야 꽃이 핀다.

(4) 중일식물 : 일조시간과 관계없이 꽃을 피우는 식물(가지. 도마토)